Big top
Big top은 왈츠, 폭스트로트, 퀵스텝, 탱고에 두루 쓰이는 고급 피겨이다.
회전량이 많아 족형도를 그리는 것이 수월한 일은 아니지만 리듬(또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되 체중 있는 발을 중심으로 그려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족형도를 참고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댄스기술을 자세히 읽어보면서 연습하는 것이 좋다.
[남성]
1보(1) ; PP에서 오른발이 왼발을 가로질러 LOD를 향하여 CBMP로 전진하되 이 때 오른발은 toe turned in으로 한다. 1보에서 오른쪽으로 1/2 회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오른쪽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toe turned in으로 한다. 통상 댄스교재에는 얼라인먼트를 LOD를 향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실재로 춤을 추다보면 코너를 향하여 BIG TOP을 출 수도 있다. HT(왼발은 T), 끝에서 약간 rise
2보(2) ; LOD를 등지고 왼발을 CBMP로 후진한다. 회전은 오른쪽으로 계속 한다. T, rise 계속
3보(3) ; LOD쪽으로 움직이면서 중앙사를 등지고 오른발을 CBMP로 작은 스텝으로 후진하되 이때 오른발은 toe turned in으로 하여 오른발이 reverse pivot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와준다. 회전량은 2-3보 사이에 1/8, 3보에서 3/8까지 회전을 한다. THT, up, 끝에서 lower
[여성]
1보(1) ; PP에서 LOD를 따라 움직이면서 중앙사를 향하여 왼발을 CBMP로 전진한다. 남성이 코너를 향하여 big top을 추면 남성의 리드에 맞춰 폴로우하면 된다. HT, 끝에서 rise
2보(&) ; 3보의 얼라인먼트 쪽으로 오른발을 사선으로 후진하면서 회전량이 7/8이 되도록 계속 회전한다. T, UP
3보(2) ; 거의 LOD를 향하여 왼발을 체중 없이 오른발에 모은다(brush step action). 왼발 은 inside edge of T, 오른발은 T, UP
4보(3) ; LOD를 향하여 왼발을 CBMP로 작은 보폭으로 전진하면서 마지막에 1/2 회전량까지 pivot을 한다. 3-4보 사이의 회전량은 1/8가지 할 수 있다. TH, UP, 끝에서 lower
스웨이는 남녀 모두 없다.
후행피겨 ; contra check, whisk
'왈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전 왈츠의 남성 베이직 전진 1보(one step)의 요령을 터득했던 일이 생각나서..... (0) | 2015.12.27 |
---|---|
outside of turn, inside of turn ; 초보자가 꼭 알아야할 사항 (0) | 2015.12.22 |
타이타닉 주제곡 ; 'My heart will go on' 타이타닉 주제곡 'My heart will go on'에 맞춰 왈츠를 추다. (0) | 2015.07.03 |
hover telemark - 춤을 배우면서 항상 궁금 중을 가져라. (0) | 2015.06.08 |
단체반 레슨만으로 춤을 잘 추기위해서는 댄스 교재를 잘 활용해야 한다. - oversway, throwaway oversway (0) | 201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