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에 있어서 걷기 연습 ; 댄스에 있어서 몸의 이동
우선 거울이나 벽 앞에서 양쪽 발을 전후로 약 30cm 정도 벌리고 선다. 좌우 어느 쪽 발을 앞으로 하고, 뒤로 해도 상관없지만 뒤에 둔 발(그림에선 B ; 왼발)을 체중 있는 발(supporting foot)로 해서 대퇴관절과 무릎을 충분히 구부린 왼발을 누르면서 오른발(그림에선 A ; 오른발)을 앞으로 보낸다.
이번에는 반대로 앞으로 내밀었던 발(그림에선 A ; 오른발)을 체중 있는 발(supporting foot)로 해서 대퇴관절과 무릎을 충분히 구부린 오른발을 누르면서 왼발(그림에선 B ; 왼발)뒤로 보낸다.
이러한 방법이 댄스에 있어서 걷기이지만 사실은 몸의 이동인 것이다.
처음에는 제자리에서 양발의 위치를 고정한 채 앞뒤로 교대로 몸을 이동해보자.
몸을 이동할 때 주의할 점은,
- 몸을 똑 바로 위로 늘려 뻗은 채로 보낸다.
- 머리는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여 수평이로 이동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전진할 때(A←B)는 왼발(B)의 체중이동이 flat(heel) - ball - toe 순으로 넘어가야하고 후진할 때(A→B)는 오른발(A)의 체중이동은 flat - heel(toe or ball이 들려야 함) 순으로 넘어가야 한다(C).
단체반 레슨의 왈츠 박스스텝을 연습할 때 의외로 체중 있는 발(supporting foot)의 flat에서 움직이는 발(moving foot)의 flat로 직접 체중 이동하는 학생(D)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렇게 걷는 사람이 남성이라면 그 사람은 여성이 자기를 당긴다고 말할 것이다.
C와 같이 걷는 사람은 둥근 타이어(○)로 차를 운전하는 느낌이고 D와 같이 걷는 사람은 사각형의 타이어(◇)로 운전하는 느낌일 것이다.
'댄스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nce에서의 settling의 의미 (0) | 2015.09.20 |
---|---|
모던 댄스 홀드에서 텐션 감각 익히기 (0) | 2015.08.04 |
hold tension ; 홀드 및 텐션의 중요성 (0) | 2015.06.26 |
홀드 모양 만들기 ; 가장 쉬운 방법 (0) | 2015.05.30 |
춤 - 힘 빼는데 만 10년 걸리다. (0)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