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즈 엔드 폴(rise and fall)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76-79쪽}
스텝을 밟기 위해서는 “움직이기 전에 반드시 로어(lower) 해야 한다.” 따라서 스텝을 하자면 로어와 라이즈의 개념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highest rising : 최고 정점
․rise : ‘일어나다. 올라가다.’와 같이 움직이는 개념
․up : highest rising보다는 높이의 정도가 다소 낮은 rise가 된 상태
․down : 무릎을 부드럽게 하여 보통의 상태보다도 좀 더 낮은 상태
․lower : ‘낮추다. 끌어내리다.’와 같이 움직이는 개념
․waltz : rise → highest rising → lower
․fox trot, quick step : rise → up → lower
☞ rise & fall에서의 lower, down, rise, up은 어떻게 다른가?
A 선생님 :
․down을 “무릎을 굽혀 몸을 낮추는 것”으로 heel이 마루에 닿지 않더라도 괜찮다.
․lower는 heel이 마루에 닿은 상태를 설명.
․highest rising은 두 다리를 모아서 가장 높이 몸을 세운 toe 상태.
․up은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toe인 상태로 fox trot에서는 거의 모든 step이 두 다리를 벌리기 때문에 모두 up이다.
B 선생님 :
․lower란 rise의 위치에서부터 보통의 위치에 돌아오는 것.
․fall이란 lower에서부터 down까지를 말한다.
․up은 rise의 최고의 상태
C 선생님 :
․down란 무릎을 부드럽게 약간 구부려 보통의 상태보다도 좀 더 낮게 하는 것. waltz의 남녀 contra check 1보, quick step의 남녀 tipsy to right 3보
․up은 rise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 fox trot나 quick step의 휘겨 중 여러 step으로 이루어져 있는 휘겨의 중간 step은 up인 경우가 많다. 예컨대, fox trot의 natural weave는 8 step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남성의 2~7 step과 여성의 3~7 step은 up이다. quick step의 tipple chasse to right는 8 step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간의 4~7 step은 남녀 모두 up이다.
따라서 up으로부터 다시 rise로 계속되는 경우는 없다.
waltz의 closed change와 같이 3 step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통상 1의 끝에서 rise 시작, 2와 3에서 계속 rise, 3의 끝에서 highest rising 후 lower한다. chasse from PP(5보)와 같이 여러 step으로 이루어 진 경우 4보에서 up하고 4의 끝에서 lower한다.
[우선 영어 단어 뜻부터 살펴보자]
․down : 내려가다. 떨어뜨리다.
․lower : 끌어내리다. 낮추다.
․fall : 떨어지다. 내리다.
․rise : 일어서다. 올라가다. 높아지다.
․up : 일어나다, 위에, 서서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down, fall, lower 모두 ‘내리다’, rise와 up은 모두 ‘일어나다, 일어서다’와 같은 비슷한 뜻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르치는 선생님 마다 조금씩 다르게 설명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
[정리]
․하이스트 라이징(highest rising) : 왈츠의 클로즈드 체인지(closed change) 1 2 3은, 1의 마지막에 rise 시작, 2 rise 계속, 3 rise 계속 마지막에 lower, 즉 3의 lower하기 직전이 highest rising 즉, 최고 정점에 오른 후 lower한다.
․업(up) : 왈츠의 샤세 프롬 피피(chasse from PP)의 제4보,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토(toe)인 상태, 폭스 트로트의 휘겨 중 여러 스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중간 스텝이 두 다리를 벌리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업(up)이다. 예컨대 페더 스텝(feather step)의 2, 3보의 업(up)은 최고 정점(highest rising)보다는 높이의 정도가 다소 낮지만 라이즈한 상태를 나타낸다.
․라이즈(rise) : ‘일어서다. 올라가다. 높아지다’란 뜻으로 댄스에서는 로어한 상태에서 몸을 일으켜 세우는 것을 말한다.
․로어(lower) : 로어란 똑바로 선 자세에서 발목 무릎 대퇴관절을 굽히면서 몸을 낮추는 것을 말하는데 라이즈(rise or highest rising) 또는 업(up)의 위치에서부터 보통의 위치에 돌아올 때 로어라고 한다.
․다운(down) : 무릎을 부드럽게 하여 보통의 상태보다도 좀 더 낮게 하는 것. 폭스 트로트의 바운스 폴 어웨이 위드 위브 엔딩(bounce fall away with weave ending) 4, 5, 6보의 라이즈 엔드 폴(rise & fall)을 보면 4보 업(up), 끝에서 로어, 5보 다운(down), 끝에서 라이즈, 6보 업(up)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보면 다운(down)은 로어 보다 다소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폴(fall) : 통상 라이즈에서 보통의 위치로 내려오는 것을 로어, 보통의 위치에서 더 내려가는 것을 다운이라 하고 이 두 가지를 포함하여 폴이라고 한다.
댄스 용어란 사람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므로 용어의 뜻에 너무 집착할 필요는 없다.
몸을 낮추기 위해서는 발목, 무릎, 대퇴관절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발목 : 다리와 발이 이어지는 곳. 발의 관절 부분
무릎 : 정강이와 넓적다리 아래와의 사이에 있는 관절의 앞쪽
대퇴(大腿) : 허리에서 무릎 까지 사이의 부분, 넓적다리뼈(대퇴골)가 있는 부분.
대퇴관절 :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관절, 고관절이라고도 함
로어 할 때는 발목, 무릎, 대퇴관절을 충분히 구부리도록 한다.
높낮이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아래에서 위로 : rise → up 또는 rise → highest rising
․위에서 아래로 : up → lower, highest rising → lower, rise → lower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업(up) 후에 다시 라이즈하는 경우는 없다.
예컨대 폭스 트로트에서는 왈츠와 같이 발을 모으는 경우는 거의 없고 두 발을 벌리는 스텝이 많이 사용되므로 첫 시작 스텝의 끝에서 라이즈, 중간 스텝은 업(up), 마지막 스텝의 업(up) 후 끝에서 로어를 많이 사용한다.
왈츠에서는 콘트라 쳌(contra check)의 1보(down)와 샤세 프롬 피피(chasse from PP)의 4보(up)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라이즈 엔드 폴(rise & fall)은 3보 스텝에서 1보 라이즈 시작, 2보 라이즈 계속, 3보 라이즈 후 마지막에 로어 등과 같이 라이즈와 로어를 많이 사용한다.
스텝을 시작하기 전 즉, '움직이기 전에 로어 하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물론 선생님에 따라서는 다운(down)하라고 하는 분도 있다.
개념을 정확히 알아두는 것도 필요하지만 혹시 혼동되더라도 몸을 움직이기 전에 반드시 로어 또는 다운(lower or down)을 한다. 로어 또는 다운하는 경우 앞으로의 설명은 '로어'로 통일 한다.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76-79쪽}
'댄스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nce에서의 promenade의 발음? (0) | 2013.10.08 |
---|---|
파티장에서 춤추다 스텝이 잘못된 경우 대처방법 (0) | 2013.09.22 |
댄스기술 ; CBM, CBMP (0) | 2013.09.14 |
댄스스포츠 음악 이해 (0) | 2013.08.20 |
댄스스포츠 - 텐션 (0) | 201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