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48쪽-56쪽}
3. 음악(music)
가. 우선 음악을 들을 줄 알아야한다.
․ 처음에는 왈츠, 탱고, 퀵스텝, 폭스트로트, 비엔나왈츠, 룸바, 차차차, 자이브, 삼바, 파소도블 등으로 구별된 CD를 구입하여 듣는다.
․구별이 가능하게 되었으면 10 댄스가 혼합되어 있는 CD를 구해서 듣는다.
우리나라의 카바레나 무도장에서 흘러나오는 대중가요는 타악기 소리가 분명하게 들린다. 즉 4/4박자 음악이 ‘쿵 작 쿵 작’하고 리듬 소리가 분명하게 잘 들리기 때문에 박자에 맞춰 스텝을 하기가 수월하다.
그러나 댄스스포츠 음악은 우리나라 트로트 음악처럼 타악기 소리가 분명하게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처음 댄스스포츠를 배우는 사람들이 댄스스포츠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은 상당해 어렵다. 그렇지만 음악을 많이 들으면 언젠가는 10 댄스 음악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날이 온다. 그렇지만 10 댄스 음악의 특성을 알고 들으면 듣는 만큼 그 날이 빨리 다가 온다.
음악을 들으면서 항상 첫 박자를 찾는 연습을 한다. 왈츠의 예를 든다면, one, two, three 또는 쿵 짝 작 하면서 리듬에 맞춰 소리 내면서 듣는다. 익숙해지면 음악 중간에 첫 박자를 찾아본다.
음악을 듣고 어느 곡이 왈츠인지 폭스 트로트인지 퀵스텝인지 또는 룸바, 차차차, 자이브인지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나. 모던․ 라틴 10 댄스 음악을 구별하는 요령
․3/4박자 : waltz(왈츠) viennese waltz(비엔나 왈츠)
․4/4박자 : fox trot(폭스 트로트), quick step(퀵 스텝), jive(자이브) rumba(룸바), cha cha cha(차차차)
․2/4박자 : tango(탱고), samba(삼바), paso doble(파소도블레)
[모던]
① 왈츠와 비엔나 왈츠 : 왈츠 곡은 3/4박자이므로 ‘쿵 작 작’의 반복된 리듬이 나오면 왈츠곡이다. 왈츠 곡은 첫 번째 박자에 음악적 액센트(accent)가 있으므로 제1보를 첫 박자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실재로 우리가 무도장에서 듣는 왈츠 곡은 3/4박자 또는 6/8박자 음악이다. 모두 리듬이 일정하게 쿵 작 작 쿵 작 작 ... 하고 반복하여 들린다.
비엔나 왈츠 곡은 왈츠곡과 같이 3/4박자(쿵 작 작)이지만 왈츠보다는 2배 빠르다. 따라서 왈츠(29-30소절)와 비엔나왈츠(58-60소절)는 음악의 빠르기로 구별한다.
② 탱고 : 탱고는 2/4박자(쿵 쿵 또는 쿵 작)로 각 박자에 엑센트(accent)가 있다. 실재 노래는 8분음표(♪)를 많이 사용한다. 탱고 음악은 스타카토(staccato : 한 음표 한 음표씩 끊어서 연주하는 것)가 있으므로 탱고음악을 찾기는 아주 쉽다.
③ 폭스 트로트와 퀵 스텝 : 폭스 트로트와 퀵 스텝은 같은 4/4박자(쿵 작 궁 작)이지만 퀵스텝(48-50 소절)은 빠른 템포(tempo) 이고 폭스트로트(29-30 소절)는 느린 템포로 구별한다.
[라틴]
① 룸바, 차차차, 자이브 : 룸바, 차차차, 자이브 음악은 모두가 4/4박자다. 박자로는 구별할 수 없고 빠르기로 구별한다.
․자이브 : 자이브 음악은 4/4박자 ‘쿵 작 궁 작’ 리듬의 반복이다. 특별한 리듬이 없으므로 ‘쿵 작 궁 작’의 빠른 리듬의 음악이면 모두 자이브 추기에도 적합하다.
․룸바 : 룸바 음악도 4/4박자 음악이므로 기본리듬은 ‘쿵(1) 작(2) 궁(3) 작(4)’이지만 잘 들어보면 룸바의 고유 리듬인 ’쿵자자(1) 작작(2) 쿵작(3) 쿵작(4)‘의 리듬이 반복하여 들려온다. 물론 무도장에서는 고유리듬이 아닌 곡을 틀어주는 경우도 있다. 그 것은 오리지널(original) 룸바 음악이 아니다. 다만 속도가 룸바추기에 적합할 뿐이다. 카바레에서 부르스 곡에 룸바춤을 추는 것과 비슷하다.
․차차차 : 차차차 음악도 룸바와 같이 4/4박자이므로 기본리듬은 ‘쿵 작 궁 작’이 이지만 잘 들어보면 ‘쿵(1) 작(2) 쿵(3) 차 차(4)’의 연속된 연결 음이 반복하여 들린다.
② 삼바 : 삼바 음악은 2/4박자 음악으로 Tamborim, Chocalho, reco-reco, Cabana 등과 같은 브라질 악기 특유의 ‘말발굽 소리’ 같은 리듬의 브라질 풍의 정열이 흠뻑 느껴진다.
③ 파소 도블레 : 파소 도블레 음악은 2/4 음악으로 역동적인 행진곡 풍이다.
이와 같은 음악적 특성을 알고 들으면 음악의 종류가 귀에 훨씬 빨리 정확히 들려온다.
다. 댄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음악 용어
․박자(拍子) : 곡조의 진행하는 시간을 헤아리는 단위를 박자라고 한다. 센박과 여린박이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면서 형성되는 리듬의 기본적 단위를 박자라고 하며, 대개 ‘강-약, 강-약’의 2박자나, ‘강-약-약, 강-약-약’의 3박자 또는 강-약-중강-약의 4박자로 이어진다.
박자는 한마디 속에 몇 박이 들어있는지를 표시하지만 이들의 진행속도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음표와 박자의 길이는 ‘♩ = \/, ♪ = \ ’와 같이 나타내는데 박자의 길이가 절대치는 아니다. ‘1m’의 길이는 과거나 미래나 또는 미국이나 영국이나 한국에서 똑같은 ‘1m'의 길이를 갖고 있지만 ♩ = \/의 길이는 절대적 개념이 아니고 상대적 개념이다.
똑 같은♩(4분음표)라도 ♩를 1분 동안 1 소절 안에 3개씩 ‘♩=―’ 의 길이로 90 박자를 치면 왈츠곡이 되며 ‘♩=-’의 길이로 치면 1분에 180개를 치게 되어 비엔나 왈츠곡이 된다.
이와 같이 같은 ♩음표의 길이가 음악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이 될 수 도 있다.
․바(bar) : 소절이라 하는데, 오선지에 그려져 있는 세로줄과 가로줄 사이 즉, 마디를 말함.
․템포(tempo) : 음악이 연주되는 속도, 1마디가 1분 안에 몇 번 연주되는가, 즉 1분 안에 있는 소절(bar) 수를 가지고 표시한다.
음악의 속도는 BPM(Beat Per Minutes) 또는 M.M. [(음악)Maelzel's Metronome (멜첼식 메트로놈) ; 박절기(拍節器)]으로 나타내는데 위 [잊혀진 계절]악보 왼쪽 위를 보면 slow gogo(♩= 76)(남 : A 여 : E)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 76은 1분 동안 ♩(4 분음표)를 76번 연주하라는 뜻이다. 즉 1분 동안 4 분음표(♩)를 76번 beat(두드리다, 치다)한다. 이것을 소절로 표시하면 C = 4/4 박자이므로 76 ÷ 4 = 19 소절이 된다. [잊혀진 계절]은 1분 동안 19소절을 연주하게 된다.
․리듬(rhythm) : 음악의 흐름 속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강약 또는 장단, 엑센트의 일정한 규칙 및 되풀이하는 반복 운동.(예컨대 3/4박자 음악은 ‘쿵 작 작 또는 강 약 약’, 4/4 박자 음악은 ‘쿵 작 궁 작 또는 강 약 중강 약)
․타임(time) : [음악]에서는 박자 ; 속도를 가리킨다. waltz time ; 왈츠박자, beat time ; 박자를 맞추다.
․타이밍(timing) : 스텝시간의 길이(시간적 조절), 예컨대 왈츠의 double reverse spin의 timing은 1 2 3 & 또는 1 2 3 &, 폭스트로트의 feather step의 timing는 SQQS등과 같이 나타낸다.
․비트(beat) : ‘(연속적)으로 두드리다. 치다. 때리다’의 뜻인데 [음악]에서는 박자(unit of musical rhythm)를 뜻한다. beat time [음악] 장단을 맞추다.
․타임 시그너쳐(time signature) : [음악] 박자 기호 또는 박자표. 박자표는 음자리표, 조표 뒤에 보통 분수로 나타낸다. 박자표는 4/4, 3/4, 2/4, 6/8 등의 분수로 나타내는데 분모는 단위가 되는 음표, 분자는 1마디 안에 포함되는 단위 음표수를 가리킨다. 예컨대 4/4 박자는 4분 음표를 1박으로 하여 한 마디 안에 4박이 들어있는 박자를 나타낸다. 4/4박자를 오선지에 나타낼 때는 4/4 또는 C로 표시하는데 4/4는 ‘박자표’라 하고 C는 ‘박자기호’라고 한다.
․벨류(value) : 가치 가격 등이 일반적인 뜻이지만 [음악]에서는 (음표가 나타내는)길이, 시간적 가치(time value)를 뜻한다.
A quarter note has the value of two eighth notes(4분 음표는 8분 음표 2개의 가치 또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멜로디(melody) : 선율, 곡조, 가락(소리의 길이와 높낮이의 어울림)
․가사 : 노래의 내용이 되는 문구.
․노래 = 가락 + 가사, 즉 목소리로 나타내는 가사에 곡조를 붙이어 부르는 말을 노래라고 한다.
․음악 : 소리에 의한 예술, 박자 가락 음색 화성 등에 의해 갖가지 형식으로 조립한 곡을 목소리나 악기로 연주하는 것으로 상악과 기악의 두 가지로 크게 분류한다.
․비트 벨류(beat or time value) : 댄스에서는 몸동작이나 스텝을 음악에 맞추는 것. 음악의 연주되는 소절 안의 각 박자, 즉 각 스텝에 대한 음악적 시간의 길이 또는 배분을 말함.(예, 왈츠의 1 2 3의 각 스텝에 대한 음악 시간의 길이, 1보 = 1박자, 2보 = 1박자, 3보 = 1박자, 또는 퀵 스텝, 폭스 트로트의 S = 2박자, Q = 1박자)
․신코페이션(syncopation) : [음악] 절분법[박절(拍節)상의 강약의 위치가 본래의 자리에서 밀려나가기, 소절의 내부 또는 두 소절에 걸침] 댄스에서는 정상적인 리듬을 변화시키는 것, 또는 음악 강박의 위치를 변하게 하는 경우.(예, 왈츠의 1 2 3 = 1 2 & 3 = 1박자 1/2박자 1/2박자 1박자) [syncopate ; (음악) ~에 절분법(節分法)을 쓰다. 절분하다. syncopated ; 당김음으로 된]
․Q(quick) : 한 박자로 이루어짐. Q = ♩(4분음표) = 1박
․S(slow) : 두개의 Q이 모인 것 . S = Q + Q = ♩ + ♩ = 1 + 1 = 2박
․& : Q의 1/2박자, 반 박자임. & = ♪(8분음표)
&박자는 앞 박자의 박자 값에서 1/2을 분리해 나온 것이다. 즉 왈츠의 샤세 프롬 피피(chasse from PP)의 4보 박자 값은 1 2 & 3 = 1박 1/2박 1/2박 1박이다.
폭스 트로트의 FR & SP의 박자 값은 SQQS(2, 1, 1, 2), SQQ&(2, 1, 1/2, 1/2), SQ&Q(2, 1/2, 1/2, 1), S&QQ(1½, 1/2, 1, 1), QQQQ(1, 1, 1, 1)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퀵스텝의 팊시 투 라이트(tipsy to right)의 박자 값은 Q&Q(1/2, 1/2, 1)이 된다.
․a : &(1/2)을 반(1/2)으로 나눈 것. a = 1/4박
a 박자 값도 &과 같이 앞 박자 값에서 1/4를 분리해 온 것이다. 자이브 샤세(jive chasse)의 QaQ의 박자 값은 QaQ = 3/4, 1/4, 1이다. 삼바의 3보 1a2의 박자 값은 1a2 = 3/4, 1/4, 1
탱고 리듬의 박자 값은 좀 다르다. 탱고 음악은 2/4박자이므로 슬로우 스텝(slow step)의 길이는 4분음표(♩)를 1박을 하고 퀵스텝(quick step)의 길이는 ♩의 1/2인 ‘♪’(8분음표)가 반박(1/2박)이 된다. 따라서 &은 Q(♪)의 1/2인 ?(16분음표)가 1/4박이 된다. five step의 박자 값은 QQQQS(1/2, 1/2, 1/2, 1/2, 1) 또는 QQS&S(1/2, 1/2, 3/4, 1/4, 1)이 된다.
라. 댄스스포츠종목별 박자, 템포, 리듬의 특성
① 모던댄스
왈 츠 : 3/4박자, 29~30소절, 강 (약) 약
탱 고 : 2/4박자, 30~33소절, 강 강[또는 강 약]
퀵 스 텝 : 4/4박자, 48~50소절, 강 약 중강 약
폭스트로트 : 4/4박자, 29~30소절, 강 약 중강 약
비엔나왈츠 : 3/4박자, 58~60소절, (강) 약 약
② 라틴댄스
룸 바 : 4/4박자, 27~29소절, 강 약 중강 (약)
차 차 차 : 4/4박자, 30~32소절, (강) 약 중강 약
삼 바 : 2/4박자, 52~54소절, 강 약[1 (a) 2]
파소도브레 : 2/4박자, 60~62소절, (강) 약
자 이 브 : 4/4박자, 42~44소절, 강 (약) 중강 (약)
리듬의 특성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첫 박자에 음악적 강세가 있지만 춤에 따라서는 그 특성상 춤의 강세를 음악적 강세와는 다른 박자에 두는 경우가 있다. 위에서 ( )표시를 한 것이 춤의 강세를 두는 박자다.
* 소절수만 가지고는 음악의 빠르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없다. BPM 또는 M.M.으로 표시하면 10 댄스의 빠르기를 일목요연하게 알아볼 수 있다.
[모던 라틴 댄스의 빠르기를 M.M.으로 표시]
․모던 라틴 종합
탱고(60-66) < 왈츠(87-90) < 삼바(104-108) < 룸바(108-116) < 폭스트로트(116-120) < 파소 도블(120-124) < 차차차(120-128) < 자이브(168-176) < 비엔나 왈츠(174-180) < 퀵스텝(192-200)
․모던
탱고(60-66) < 왈츠(87-90) < 폭스트로트(116-120) < 비엔나 왈츠(174-180) < 퀵스텝(192-200)
․라틴
삼바(104-108) < 룸바(108-116) < 파소 도블(120-124) < 차차차(120-128) < 자이브(168-176)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48쪽-56쪽}
'댄스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티장에서 춤추다 스텝이 잘못된 경우 대처방법 (0) | 2013.09.22 |
---|---|
댄스기술 ; Rise & Fall (0) | 2013.09.16 |
댄스기술 ; CBM, CBMP (0) | 2013.09.14 |
댄스스포츠 - 텐션 (0) | 2013.08.16 |
춤의 바른자세 걷기 (0) | 201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