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브

Jive(1) ; 댄스파티에서 루틴없이 춤추는 방법(자이브 특성, footwork)

장호열 2013. 12. 3. 18:08

앞으로 몇회에 걸쳐 댄스파티에서 루틴없이 리더(남성)가 파트너(여성)를 자유자재로 리드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그러자면 우선 자이브의 특성과 footwork를 잘아두는 것이 좋다.


1) jive의 특징

․빠른 분절음의 open chasse, 조금 느린 back break rock와 전진 replace로 이루어진 basic step를 갖고 있다.
․replace : 시작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마루바닥에서 발을 떼어서 들어 올리는 것. 1(rock) 2(&)에서 2할 때 즉 남성의 오른발에 체중이 옮겨질 때 왼 발은 처음 시작할 때의 위치로 돌아온다는 뜻이다.
․break : 움직임을 중단하는 것.
․의도적으로 hip을 흔들지 않고 체중 두는 발에 hip이 자연스럽게 따라가면서 swing이 되어야 한다.
․knee와 body를 통해서 Q a Q 리듬을 느껴야 한다.
․hip이 chasse의 마지막 step에 중심이 중앙에 오는 기본자세로 돌아온다.
․어깨 근육에 약간의 장력(tension)이 있어야 리드를 할 수 있고 받을 수 있다.
․musical accent는 첫 박자, percussive accent는 두 번째와 네 번째 박자에 있다. 

2)  jive chasse(Q a Q)의 종류

․open chasse :
2보를 완전히 모으지 않고 반쯤 닫고 3보를 벌리는 half chasse, 보통 빠른 음악이나 빠르게 움직일 때 사용.
․chasse to left & right :
좌․우로 벌리고 모으고 벌리고 하는 chasse
․forward & backward chasse :
앞으로 모으고 앞으로 & 뒤로 모으고 뒤로 하는 chasse
․compact chasse :
제자리에서 체중만 이동하는 chasse
․turning chasse :
compact chasse와 같이 거의 제자리에서 하는 chasse이지만 발을 약간 움직이면서 회전(회전 없이 할 수도 있다)한다. 

3)  jive의 footwork

우선 flat의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flat이란 발바닥전체가 마루바닥에 접지 한 상태를 말한다. 즉, 발바닥 전체가 마루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를 말한다. 물론 중심이 완전히 축이 되는 발에 실린 상태를 ‘입각중기’ 즉 mid stands라고도 하지만 여기서는 flat을 통상 ‘체중이 실린 상태’의 의미로 사용한다.


중요한 것은 모던이든 라틴이든 댄스에 있어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ball에 체중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왈츠 한 곡을 추는 데 있어서도 heel을 바닥에 놓지 않는 다는 생각으로 춤을 추라’는 교훈을 잊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왈츠의 natural spin turn 남자 4보의 경우 ‘footwork는 THT이지만 heel은 실제 턴에서 floor에 접촉해 있다’고 책에 설명이 되어 있다. 즉 ball로 turn하라는 뜻이다.


jive에서도 마찬가지로 체중이동은 항상 발의 ball을 사용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즉, jive의 모든 step는 발목과 무릎이 느슨한 상태에서 ball을 이용하여 체중을 이동하면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어깨 근육이 약간 장력을 느낄 수 있어야 리드를 할 수 있고 리드를 받을 수 있다.


ball → ball의 형태로 step을 하는 경우는 체중이 ball에서 ball로 이동하니 의문이 없지만
ball → flat의 형태로 step을 하는 경우는 체중이동은 ball을 이용하여 ball이 먼저 마루바닥에 닿으면서 발 전체(flat)를 바닥에 닿게 한다. 이론적으로 그렇다는 뜻이지 실재로 빠른 음악에 jive를 출 때는 ball이 마루바닥에 딛음과 동시에 heel을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jive는 40~46 소절이므로 느린 음악은 상당히 느리다.
따라서 느린 음악의 jive와 빠른 음악의 jive의 footwork는 조금 다르다.
1 2 3 a 4 5 a 6 = Q Q Q a Q Q a Q = rock & Q a Q Q a Q


◉ chasse Q(3/4) a(1/4) Q(1)의 footwork

① slow tempo의 jive
Q(3) - 1보 : ball → flat(ball이 먼저 바닥에 닿은 후 발 전체가 바닥에 닿는다.)
a(a) - 2보 : ball(ball만 바닥에 닿는다)
Q(4) - 3보 : ball → flat(1보와 동일)

② fast tempo의 jive
Q(3) - 1보 : ball(ball만 사용)
a(a) - 2보 : ball(1보와 같음)
Q(4) - 3보 : ball → flat(ball이 먼저 바닥에 닿은 후 발 전체가 바닥에 닿는다.)
slow tempo는 bounce, fast tempo는 spring action으로 구별한다. bounce는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을 말하고 spring action은 용수철 튕기듯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

 

jive도 ‘체중이동은 항상 발의 ball을 사용하여 이동되어야 한다’.라고 대부분의 책에 설명되어 있다.
음악이 느리면 움직이는 발이 ball로 체중을 이동한 후 오랜 시간(여기서는 느린 jive를 뜻함)을 지탱하기 힘들다. 그래서 자연히 발 전체로 바닥을 밟게 된다. 즉 flat으로 된다.
음악이 빠르면 ball로 체중을 옮긴 후 flat으로 되기 전에 다음 발로 체중이 옮겨가기 때문에 ball → flat로 될 시간적 여유가 없다.


jive 동영상을 볼 때 ‘a’의 경우 1/4박자로 time이 짧기 때문에 heel을 들 여유가 없어 flat으로 보이지만, 즉 ‘a’는 첫 ’Q‘처럼 heel을 들고 ball로 체중을 이동하지는 않아 비록 flat으로 보이더라도 분명 ball만으로 체중을 이동해야 한다.


‘a’는 1/4박자의 길이 밖에 안 되므로 아무리 느린 jive 음악이라도 heel을 들고 ball로 체중이동하기엔 시간적 여유가 없다. 그래서 slow든 fast든 ‘a(1/4)’는 ball로 체중을 옮기지만 거의 heel이 들리지 않기 때문에 flat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slow tempo 경우의 첫 ‘Q(3/4)’는 ball → flat으로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지만 fast tempo 경우의 첫 ‘Q(3/4)’는 같은 3/4박자이지만 ball → flat으로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ball로만 step 및 체중을 이동한다.
‘a’에 대하여는 fast & slow tempo의 경우 비록 음악이 빠르고 느린 차이는 있지만 1/4은 박자 길이가 너무 짧기 때문에 ball → flat으로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 ball로 만 step 및 체중을 이동하고 heel도 마루바닥으로 부터 거의 들리지 않는다. 그래서 발 움직임이 flat로 보인다.
셋째 ‘Q(1)’의 경우는 fast라도 체중이 완전히 이동한 후 hip rotation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ball → flat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