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스텝

Quick step의 footwork와 rise & fall의 일반 법칙

장호열 2015. 9. 4. 07:33

Quick step의 footwork, rise & fall 등 대체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있다(물론 예외적인 것도 많음).

 

이런 원리를 알면 퀵스텝을 추기가 훨씬 편하다.


․휘겨의 시작 전진 step 1보가 S이고 2보가 up인 경우(natural turn, running finish, natural turn & back lock, quick open reverse 등)는 1보 끝에서 rise다. 결코 rise 시작이 아니다. 2보가 rise하는 경우(quarter turn to right, progressive chasse, forward & back lock, tipple chasse to right 등)는 supporting foot을 lower한 후 HT로 전진, 2의 끝에서 rise 시작이다. 이러한 휘겨는 대체적으로 다음 스텝이 up이 아니고 rise 계속이다.


․휘겨의 중간 step은 대부분 Q이고 T, up이다.


․Q 다음이 S인 경우 그 Q는 T, 계속 rise(또는 up)이고 S는 TH, up, S의 끝에서 lower한다. 즉 S는 T로 up한 후 S의 끝에서 lower하면서 H을 바닥에 놓는다. fox trot의 경우는 S의 앞 Q의 끝에서 lower한 후 S는 H로 전진(후진의 경우는 TH)한다. 이것이 퀵스텝과 폭스트로트의 차이점이다.


․natural turn(SQQSSS)의 경우는 1보 끝에 rise(여성은 NFR)이고 2, 3보는 up이고 3보 끝에서 lower한다. 4-6보의 S는 3보의 끝에서 lower한 상태에서 step을 한다.


․휘겨의 중간에 S가 있는 경우는 일률적으로 말하기가 어렵다. natural turn & back lock(SQQSQQSS)의 3, 4보는 3보(Q ; up)의 끝에서 lower하고 4보(S) 끝에서 rise 시작인데 반해 tipple chasse to right(SQQSQQSS)의 3, 4보는 3보(Q)는 rise를 계속한 다음 4보 up한다. 이와 같이 예외적인 것은 외워두는 편이 좋다.


․휘겨의 시작 후진 step이 S인 경우 supporting foot을 lower한 후 TH로 후진, 끝에서 rise 시작, NFR. 이 경우는 처음 전진 스텝이 S 인 경우ㅘ 대체로 같다고 보면 된다.


․change of direction은 rise & fall이 없다.


☞ 남성의 경우 후진 step의 끝에서 rise하는 경우는 quick step에서는 NFR가 많은데 fox trot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T 또는 T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