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나그네-심수봉 ; ♩= 87(29 소절)
(화면을 확대해 보시면 글자가 보입니다) ↑ (플레이 하신 후 클릭)
우리나라 가요중 왈츠 댄스곡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는 것이 ‘심수봉의 겨울나그네’이다.
그런데 파티장이나 수업시간에 틀어주는 이곡에 박자를 맞춰 춤을 추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박자에 맞추자니 박자가 잘 들려오지 않고 가사에 맞추자니 춤추는 도중에 스텝과 리듬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최근 어렵게 악보를 볼 기회가 있어 멜로디와 리듬을 비교해보니 통상의 왈츠곡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었다(악보는 스크랩이 허용되지 않아 여기에 소개를 할 수 없는 점 양해바랍니다).
첫째, 이 곡은 못갖춘마디 곡이다.
즉 박자표에 제시된 박자에 부족한 마디. 여린박에서 시작되며, 첫째 마디와 끝마디를 합하면 정규의 박 수가 된다. 통상의 왈츠곡은 ‘쿵작작의 쿵’으로 시작하는데 이 노래는 ‘쿵작작의 작’인 약 박자 ‘작’으로 시작한다.
둘째, 노래 말의 한 단어가 소절로 나누어져있다.
- - 겨울/이 - 좋/아 - 좋/아 - - /- - 하/얀 - 눈/
겨울이 좋아 좋아 하얀눈 --- 과 같이 한 단어에 익숙한 사람들은 겨울이-(쿵작작) 좋아-(쿵작작) 좋아-(쿵작작)--으로 춤을 추게 된다. 이렇게 춰도 끝에 가서는 박자는 맞을지 언정 중간에 '강박자인 쿵'이 들릴 경우 노래말과 '강박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음악의 리듬에 정확히 맞춰 춤을 추려면 이 곡의 전주곡에서 나오는 리듬을 듣고 그 리듬의 빠르기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스텝을 밟으면 음악 중간에 박자가 잘 들리지 않더라도 리듬에 맞춰 춤을 출 수 있다.
다음을 참고하여 노래를 많이 들어보면 리듬과 멜로디가 머릿속에 그려진다.
--------------------------------------------------
- - 겨울 / 이 - 좋/아 - 좋/아 - - /- - 하/얀 - 눈/
쿵 작 작 / 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
이 - 좋/아 - - /- - 말/없 이 앉/았 다 -/가 는 사/
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
람 - - /추 - 억/을 묻 고/서 - -/ - - -/
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쿵 작 작/
그대 와 앉았던 /그날그자리/기쁨과슬픔모/두버리고/
쿵 작 작 / 쿵 작 작/ 쿵 작 작 / 쿵 작 작/
사랑이/루지 못한/채 - - /- - 하/ 얀 겨/울 속으/로 음/
쿵작작/쿵작 작 / 쿵작작/쿵작작/ 쿵작작/쿵작 작/ 쿵작작/
음~ 그/ 님 떠나 /보내놓/고- -/ - - 다/시는- -/ - - 다/시는 - -/
쿵 작작/ 쿵작 작 /쿵작작/쿵작작/쿵작작 /쿵 작작/쿵작작/ 쿵 작작/
- - 올/수- 없/는 -그/겨울- -/
쿵작작/쿵작작/쿵작작/ 쿵작작/
(후렴)
그대와 앉았던/ 그날 그밴취 /기쁨과 슬픔모/두버리고/
사랑이/루지 못한/채--/--하/얀겨/울 속으/로 음/
음~그/님 떠나/보내놓/고--/--다시/는 --/--다/
시는--/--올/수-없/는 -그/시절--/
'왈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체반 레슨만으로 춤을 잘 추기위해서는 댄스 교재를 잘 활용해야 한다. - oversway, throwaway oversway (0) | 2015.06.03 |
---|---|
Toe turned in, Toe turned out ; natural turn, chair, big top (0) | 2015.05.18 |
Head weight(헤드 웨이트) 정리 ; natural turn, reverse turn (0) | 2015.04.28 |
Head weight(헤드 웨이트) ; reverse turn - slow waltz (0) | 2015.04.26 |
Head weight(헤드 웨이트) ; natural turn(NT) - slow waltz (0) | 201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