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paddle [pǽdl] n. : (카누 따위의) 짧고 폭 넓은 노
○ passe [pa:s] : 통과 통행허가증, 단시간의 접객, 통로
○ partner in line : 파트너와 마주하여 앞 또는 뒤로 스텝 하는 것.
○ partner outside : 파트너를 오른쪽 바깥으로 하여 후진하는 것. 즉 남성이 후진하고 파트너를 자기의 바깥으로 리드하는 경우.
○ pendulum [péndʒələm, -də-] n. : (시계 따위의) 진자, 흔들리는 추
○ pendulum swing : 진자 운동을 말하는데, 주로 왈츠의 swing이 여기에 해당된다. 탱고를 제외한 다른 moving dance에서도 휘겨에 따라 해당되는 것도 있다.
○ pépper pòt : 후춧가루통. 고추가 든 서인도 제도식의 고기 스튜; (속어) 자메이카 섬사람(별명). (속어) 성급한 사람.
○ phrase [freiz] n. : [문법] 구(句). [음악] 작은 악절(樂節).
○ pique [piːk 또는 pik] : 프랑스어로는 창, 창의 길이, 화, 불쾌, 기분이 언짢음, 불화, 모욕적인 언사, 등의 의미일 때는 ‘피~크’ 또는 ‘피크’라고 발음하고, (고르덴처럼 골지게 짠) ‘면직물’을 뜻할 때는 ‘피~케이 [pi(ː)ké́i]’ 또는 ‘피케’라고 발음하고 우리말로 표시할 때는 ‘피케’라고 쓴다. 4) ‘급강하’라는 뜻도 있다.
○ pirouette [pìruét] n. : [F] (발레의) 발끝으로 돌기; (말타기에서) 급선회.
○ pivot [pívət] n. : 피벗, 선회축(旋回軸), 추축(樞軸); (맷돌 따위의) 중쇠; (부채 따위의) 사북. 추요부(樞要部), 중심점, 요점. 발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스텝하고 다른 발을 CBMP로 유지하고 한쪽 발만으로 행하는 회전. 즉 한쪽 발을 앞 또는 뒤로 step하고 다른 방향의 발을 뒤 또는 앞 CBMP로 유지하고 한쪽 발로 행하는 회전. 체중을 한 발에 완전히 싣고 회전하기 때문에 체중이 없는 다리는 자연히 CBMP 상태가 된다. natural spin turn의 남자 4보
○ pivoting action : pivot을 닮은 동작, 남성이 우회전 pivot을 행할 때 여성은 우측 발을 전진해서 pivot과 같이 회전하지만 뒷발은 약간 좌측을 향해 스텝 하는 것. 즉 남자가 natural pivot을 출 때에 CBMP를 유지하지만, 여자는 남자와의 position 때문에 뒷발이 CBMP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pivot을 닮은 동작이 된다. natural spin turn의 여성 4보
○ pivot turn : 한쪽 발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지,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발을 축으로 회전을 행하는 것이다. 피봇에서는 보통 1/2내지 그 이하의 회전을 행하고 거의 연속해서 회전하는 것은 없다. 만약 연속하는 것이 있으면 체중의 지지 발, 즉 회전축이 되는 발은 한 번 회전 할 때마다 바뀌는 것이다.
○ place[plas] : 자리 장소
○ plait [pleit, plæt] n. : (천의) 주름(pleat); 변발(辮髮); 엮은 밀짚(braid); 땋은 끈. 휘겨의 발 움직임이 주름 또는 끈처럼 마루바닥을 끌면서 걷는다.
○ planet [plǽnət] n. : 〖천문학〗 행성(star에 대하여); (the ∼) 지구; (본디) 하늘에 이동하는 천체(달·태양도 포함).
○ PO : parter outside 후진하는 사람을 기준. 통상 책에는 전진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OP라고만 표시하고 있다.
○ point : ‘체중을 실지 않고 toe or ball을 바닥에 붙이는 것’을 말한다.
룸바의 closed hip twist의 여성 3보의 경우 발을 먼저 체중 없이 원하는 위치에 point하고 체중을 천천히 옮기는 것을 말한다. 즉 3&의 & count에 오른발을 3보를 step할 위치에 갖다 두되 체중을 옮기지는 않는다. 이것을 point라고 하고 4 count에 체중을 옮긴다.
○ pointing : 상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은 방향으로 발을 향하는 경우에 alignment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즉, 몸과 발끝이 다른 방향을 가리키고 있을 때를 pointing이라고 하고 ‘댄스스포츠테크닉’에서는 ‘pointing(향하여)’로 표기한다.
왈츠의 남성 5보의 alignment는 ‘중앙사 포인팅’이다. 즉 body는 중앙을 향하고 있는데 오른발은 중앙사를 ‘향하여’있다. ‘향하여’의 alignment를 ‘pointing’이라고 한다. 즉, 몸과 발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댄스 테크닉에서는 point와 pointing은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 poise [pɔiz] n. : 평형, 균형; (새 따위가) 공중을 맴돎. 자세, (몸·머리 따위의) 가짐새
○ position of feet : 한쪽 발에 관련한 다른 쪽의 발의 위치. 즉, ‘전진’, ‘후진’, ‘옆으로’, ‘비스듬히 앞으로’, ‘비스듬히 뒤로’, 그 밖에 CBMP, PP, OP, side leading 등이 있음.
○ PP : promenade position, 남자의 오른쪽과 여자의 왼쪽이 접촉하고 몸의 반대쪽이 V자 모양으로 열린 형.
○ progressive [prəgrésiv] a. : (부단히) 전진하는. [opp.] retrogressive.
○ promenade : promenade를 영어 발음과 다르게 왜 ‘프롬나드’로 많이 사용할까?
promenade는 ‘산책, 산보’의 의미인데, PP로 전진할 때 사용되는 명칭이다.
promenade [prɑ̀mənéid, -nɑ́ːd / prɔ̀m-] n.
① U 산책, 산보; 행렬, 행진; (무도회 시작할 때의) 전원의 행진.
② 산책길, 유보장(遊步場), 산책하는 곳.
③ [미국] = PROM ; PROMENADE CONCERT.
㉺ -nader ―n. (영국구어) 프롬나드 콘서트의 단골.
v. 슬슬 거닐다, 산책하다; 뽐내며 걷다, 행진하다; 차를[말을] 몰다.
이 말의 어원은 프랑스어다.
promenade[pʀɔmnad] - 프랑스의 r[ʀ]발음은 거의 ‘ㅎ’으로 들린다.
프랑스의 수도 Paris는 ‘빠히’라고 발음한다는 것을 프랑스 여행도중 가이드한테서 들은 기억이 난다.
그런데 Paris를 우리말로 표현 할 때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빠히’라고 하지 않고 ‘파리’하고 한다.
promenade는 가운데 ‘e’는 발음이 되지 않고 프랑스인들은 ‘쁘홈나드’라고 발음(정확히 설명하자면 우리 귀에 그렇게 들린다고 하는 것이 좋을듯하다)하지만 우리말로 표현할 때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프롬나드’라고 표기한 것 같다.
따라서 dance에 있어서 promenade의 발음은 ‘프라머네이드’, ‘프라머나-드’, ‘프러머네이드 또는 프러머나-드’ 등 영어식으로 발음해도 상관없다.
그렇다고 프랑스식의 우리말 표현으로 ‘프롬나드’라고 발음하는 것을 틀리다고해서는 아니 될 것 같다.
○ promenade position : 남성의 우측과 여성의 좌측을 가까이 대고 남성의 좌측과 여성의 우측은 V자 위치로 되는 것(PP).
○ pull step : heel pull의 별칭. 남성이 사용하는 heel turn의 일종으로, heel turn과의 차이는 한쪽발의 뒤꿈치로 회전을 할 때 한쪽 발의 inside edge로 더 천천히 끌어오고 거의 회전이 완료한 즈음에 옆으로 약간 떨어뜨려 놓고 거기에서 체중을 옮겨 체중을 지지하여 회전한 발이 다음 스텝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항상 이 회전은 뒤꿈치로 하지만 강하게 3/8이상 회전을 하는 경우는 ball로 회전한 후에 뒤꿈치에 체중을 옮겨 계속한다.
예컨대, 남성의 경우, 왈츠 hesitation change 5보, fox trot natural turn 5보는 heel pull이다. 이 경우는 왼발(4보)을 후진하고 제5보에서 오른발을 모을 때, 오른발의 heel로 마루바닥을 누르면서 왼발의 heel로 회전하고, 오른발을 옆으로 벌려 체중을 오른발로 옮긴다.
○ push [puʃ] v. : 밀다, 밀치다.
[Q]
○ quarter [kwɔ́ːrtər ] n. : 4분의 1.
○ quick [kwik] a. : 빠른, 잽싼, 민첩한; 즉석의(prompt).
'댄스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댄스용어해설(S) (0) | 2014.10.19 |
---|---|
댄스용어해설(R) (0) | 2014.10.19 |
댄스용어해설(L,M,N,O) (0) | 2014.10.18 |
댄스용어해설(H,I,J,K) (0) | 2014.10.18 |
댄스용어해설(D,E,F,G)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