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이야기

댄스용어해설(L,M,N,O)

장호열 2014. 10. 18. 06:40

[L]
○ la : 거기에서, 거기를, 여기에서 여기를, 그 때에
○ latin cross : 한쪽 발을 다른 쪽 발의 앞이나 뒤로 가로 질러서 놓는 것을 말하며 hip의 높이는 수평을 이루며 체중은 centre에 있고 움직이는 발의 발가락은 ‘toe turn out'을 하고 다른 쪽 의 무릎에 맞춰서 넣어 같이 구부리고 발끝이 다른 쪽의 뒤꿈치에서 약 15cm 정도 떨어져 위치한다.
○ leader [líːdəːr] n. : 선도자, 지도자, 리더
○ left : 왼쪽
○ leteral movement : cucarachas와 같이 hip을 왼쪽 오른쪽,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movement
○ licentiate [laisénʃiit, -ʃièit] n. : 면허장 소유자, 개업 유자격자; (유럽 대학의). 댄스교사 자격으로 멤버 다음으로 주어지는 등급.
○ line [lain] n. : 선, 줄; (펜·공구 따위로 그린) 선, 화선(畵線); 〖수학〗 선(점의 자취), 직선; 〖스포츠〗 라인,
○ link [liŋk] n. : 사슬의 고리, 고리, 연결, 연결로
○ lock [lɑk / lɔk] n. : 자물쇠. [cf.] key v. ┅에 자물쇠를 채우다, 잠그다; 닫다(shut). 두 발을 교차시킴. 두발을 앞뒤로 무릎을 포개어 교차시키는 상태(잠금)
○ LOD : line of dance 댄스의 방향선을 뜻한다. 즉, 무도장(floor, 마루바닥, hall)을 시계 바늘의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춤추면서 나아가는 방향선을 말한다. 
○ L to R : 남녀가 서로 잡고 있는 손을 영문약자로 표기하는데, 남성 왼손 여성 오른손을 가리킨다. 남성의 왼손과 여성의 오른손을 잡고 있는 것이다.
○ lunge [lʌndʒ] n. : (특히 펜싱 따위의) 찌르기(thrust); 돌출; 돌입, 돌진, 약진(at; out); 〖체조·무용〗 허리를 낮추고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한쪽 발을 한껏 내밂. 펜싱의 찌르는 동작에서 나온 댄스의 휘겨 명칭
○ lunge point : 스텝 한 남성의 오른발로 체중을 옮기지 않고 toe의 inside edge로 point하는 lunge


 

[M]
○ maypole [méipòul] n. : (종종 M-) 5월의 기둥(5월제를 축하하기 위해서 꽃이나 리본으로 장식한 기둥). 키다리(남자). 남성이 기둥이 되어 여성이 남성 주위를 돌면서 춤을 춘다.
○ member [mémbər] n. : (단체·사회 따위의) 일원(一員); 회원, 단원, 댄스교사 자격으로 associate 다음으로 주어지는 등급.
○ merengue [məréŋgei] n., vi. : 메렝게(아이티·도미니카의 무용; 또 그 곡)(를 추다).
○ Miami [maiǽmi] n. : 마이애미[미국 Florida 주 남동부의 피한지(避寒地)]
○ mooch [muːtʃ] v. : 배회하다, 살금살금 거닐다. (돈·먹을 것 따위를) 달라고 조르다, 뜯다, 후무리다(from: on); 모르는 체하다. vt. 훔치다.
○ movement [múːvmənt] n. : 움직임; 운동, 활동. 스텝에 따른 몸의 이동.
○ moving dance : movement가 몇 걸음에 걸쳐서 계속되는 댄스로서, 탱고를 제외한 모던의 왈츠, 폭스트롯, 퀵스텝, 비엔나 왈츠를 말한다. swing dance라고도 한다.
○ moving foot : 움직이고 있는 발


 

[N]
○ natural [nǽtʃərəl] n. : (구어) 타고난 명수[재사](for); (구어) 적격인 사람[것], 꼭 알맞은 것(for). 자연스러운 것. 댄스에서는 오른쪽을 나타낸다.
○ NFR : no foot rise의 줄인 말. NFR(no foot rise)은 발로 rise하지 않고 신체만으로 위로 스트레칭 하는 것. 주로 후진할 때 사용하는 댄스 기술. waltz, quick step, slow fox trot에서는 rise & fall을 사용하지만 tango와 latin dance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다.


 

[O]
○ OP(outside parter) : outside parter 파트너의 오른쪽 바깥에 위치하는 step. 오른발을 파트너의 오른쪽 바깥으로 CBMP를 유지한 채로 전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남성의 왼쪽 어깨가 나간 것을 그대로 유지한 채 파트너 바깥쪽으로 오른발이 나간다면 몸은 자동으로 CBM이 이루어지며 발은 CBMP 자세가 유지된 채로 전진이 된다. 예컨대, 왈츠의 outside change 남성 4보(outside change의 후행 휘겨 1보), back whisk의 여성 1보. 전진하는 사람을 기준. ‘왼쪽 OP'는 왼쪽 바깥쪽으로 왼발 전진하는 경우를 말한다.
○ open [óupən] a. : (문 따위가) 열린, 열려 있는, 열어 놓은.
○ open finish : 스텝의 끝에서 바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마치는 것. 즉휘겨의 마지막 발이 바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앞․뒤쪽으로 벌리면서 마치는 것. 탱고의 open promenade.
○ open turn : 3보 째를 모우지 않고 후진하는 외측 회전, 예컨대 남성의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1 - 3보, 탱고의 open reverse turn 1 - 3보
○ opening out : 파트너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동작.
○ outside [áutsáid̀] n. : 바깥쪽, 외면. [opp.] inside.
○ outside of turn(외측회전) : 전진하는 발에 회전이 일어날 때, 예컨대 남성 natural turn 1~2 사이에서 1/4회전하고 3에서 1/8회전함. foot swivel은 2에서 일어남.
○ outside patner : 파트너 바깥으로
○ oversway : 통상의 side sway에서 여자의 왼쪽 어께가 왼쪽 허리를 넘어서 뒤로 기울인 상태.
○ over turn : 통상의 회전량보다 많이 회전하는 것. 예컨대 natural spin turn 4, 5, 6보의 통상(normal turn)의 회전량은 7/8이고, over turn의 경우는 1회전, under turn의 경우는 5/8이다.

'댄스스포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댄스용어해설(R)  (0) 2014.10.19
댄스용어해설(P,Q)  (0) 2014.10.18
댄스용어해설(H,I,J,K)  (0) 2014.10.18
댄스용어해설(D,E,F,G)  (0) 2014.10.17
댄스용어해설(A,B,C)  (0) 201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