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le Chasse & Tipple chasse - 3에서 이어짐 ; 이글 바로전 스크랩한 동영상에 Ripple chasse가 나옴)
그러면 Ripple chasse의 후행 피겨를 알아보자.
통상적으로 group lesson에서 많이 가르치고 있는 것을 예로 든다면,
1) Hover corte, outside change(123 123) - Ripple chasse(12&3) - Open natural turn(123) -
이 경우에는 Semi Closed Position(or PP)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을 듯하고
2) Hover corte(123) - Back whisk(123) - Ripple chasse(12&3) - Weave, outside change(123 123) -
이 경우에도 Semi Closed Position(SCP or PP)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을 듯하고
3) Oversway & recover to PP(123 123) - Ripple chasse from PP(12&3) - Chair(123) -
이 경우에는 SCP(or PP) 또는 CBP(CPP) 어느 쪽도 가능할 것 같다.
왜냐하면 Chair를 할 때 남녀의 해드 방향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남녀 모두 해드를 전방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둘째 남녀 모두 해드를 후방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셋째 남자는 전방으로 여자는 후방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만일 CBP로 마무리하면 3)의 경우 해드 방향은 남녀 모두 후방을 향하게 될 것이다.
다음은 모던댄스교본 상에 나오는 sway의 특이한 경우를 알아본다.
회전 및 커브를 행할 때 신체의 균형을 잡기 위해 신체가 보통 회전의 내측 방향으로 저절로 기울어지는 것. 즉, 몸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기울어 질 때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일어나는 동작으로 회전할 때 원의 안쪽으로 기울어진다. 발끝에서 머리끝까지 몸이 일직선을 유지한 채로 스윙해서 기울이는 것이 원칙이다. 스웨이는 보통 움직이는 발로부터 멀리 떨어진 신체를 기울이는 것이며, 턴(turn)의 인사이드(inside : 안쪽)를 향한다.
Quick step의 Tipsy는 2 가지 sway를 사용한다.
예컨대 Tipsy to right(Q&Q)의 경우(남자 기준) 원칙적인 sway는 SLL이지만 SSR도 사용한다. 물리학의 ‘뉴톤의 운동의 법칙’에 충실한 sway는 오른쪽 샤세인 경우는 몸이 왼쪽으로 기우는 것이 원칙이지만 퀵스텝은 빠른 동작이므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해드를 오른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오른쪽 샤세를 수월하게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Tipsy(술 취한, 비틀거리는)는 샤세는 아니지만 샤세와 비슷한 동작이다.
Tipsy to left(Q&Q)도 마찬가지다(남자기준). sway는 SLL과 SSR 모두 가능하다고 교본에 설명되어 있다.
왈츠의 Turning lock to right(1&23)의 경우(남자기준)도 sway를 LLSS 또는 RRSS 2가지 모두 가능하다. 이 경우의 sway도 RRSS를 사용하면 LLSS를 사용할 때보다 오히려 움직이기 수월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다음에 계속)
'왈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왈츠 루틴 숙달하기 - 1 (0) | 2014.06.30 |
---|---|
Ripple chasse & Tipple chasse - 5(Tipple chasse) (0) | 2014.05.18 |
유튜브에서 Ripple Chasse의 영상을 찾았습니다. (0) | 2014.05.13 |
Ripple Chasse & Tipple chasse - 3 (0) | 2014.05.13 |
Ripple Chasse & Tipple chasse - 2 (0) | 201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