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기생 진향과 길상사 ※아 !! ~ 아름답다 어찌 저리도 고울수가 있을까? 첫 눈에 ; 친구로부터 온 카톡 메세지

장호열 2021. 6. 28. 10:52

기생 진향과 길상사
 
※아 !! ~ 아름답다
어찌 저리도 고울수가 있을까?
 
첫 눈에 반한 사내는 눈부시게 아름다운 여인 옆으로 다가가
 
진담반 농담반으로 여인에게 말하였다,
 
“나 당신에게 반했어요!! 오늘부터 당신은 나의 영원한 마누라야 ”
 
“죽기 전에는 우리의 사랑을 막을길이 없을꺼야 ~ 알았지요? ”
 
이렇게 첫눈에 반한 사랑은 시작되었고
 
그 사랑은 영원 불멸의 꽃이 되어 지금도 피어 있다,
 
기생 진향(眞香)은 가세가 기울어 
 
방년 16세에 조선권번(기생학교)에 들어가
 
금하 하일규 스승밑에서 궁중아악과
가무(歌舞)를 배웠다,
 
그는 타고난 성품이 있어 아악과 가무에도 능통했지만
 
특히 시예(試藝)에 탁월한 재능이 있어 스승 하일규는
 
더 큰꿈을 이루기위해서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라고 하였다,
 
그 당시에는 일제시대니 만치 일본 유학을 다녀와야 알아주던 시대였다,
 
그러나 일본 유학을 떠난지 1년도 안돼
 
하일규 스승이 함흥에서 투옥되었다는 소식을 일본에서 접하고
 
무작정 귀국선에 몸을 싣고 함흥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일개 기생신분으로 감옥에 갇힌 스승을 만나기란 쉬운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스승을 만나기위해 함흥기생이 되었는데
 
이때 함흥영생여고보 교사들의 회식장소에서 운명적인 만남이 이루어 졌어요
 
두사람의 운명적인 만남은
 
한사람은
기생 진향(眞香)으로
 
또 한사람은 함흥영생여고보 영어교사로 만났는데
 
기생 진향(眞香)의 본명은 김영한(金英韓.
1912~1999)이고
 
함흥여고 교사의 이름은 백석(白石) 백기행(1912-1995) 이었다,
 
함흥에서 시작된 사랑은 진향이 먼저 서울로 오고
 
뒤이어 백석이 서울로와 지금의 종로구 청진동에 신방을 차렸는데
 
그때 백석의 나이 스물여섯 김영한의 나이 스물둘이였다,
 
두사람은 맑은물 한그릇 앞에놓고 서로의 마음을 언약하였으며
 
서로가 서로를 확인하는 뜻에서 맞절을 하고 초야(初夜)를 맞이 했다,
 
기생 진향은 스물두해 고이 간직한 처녀성을 백석에게 주었으며
 
백석또한 첫사랑의 고귀한 마음을 뜸뿍 주었다,
 
두사람의 불같은 사랑은 이렇게 시작되었는데
 
초야를 치룬후 몇날 몇일을 방문을 걸어 잠그고
 
깊고 깊은 환락의 나날을 보냈다,
 
어느날 시인 백석은 그녀가 사온 “당시선집(唐詩選集)”을 뒤적이다가
 
당나라 이백(李白)의 시
“자야오가(子夜吳歌)”를 발견하고
 
“자야(子夜)”라는 아호를 진향에게 지어 주었다,
 
“자야오가”는 중국 장안(長安)에서
서역(西域)으로 적군을 물리치러 나간
 
낭군을 기다리는 여인 "자야"의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시였다,
 
그러나 기생과의 사랑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백석의 고향 부모들은 기생과의 사랑을 막으려고 고향으로 불러내려
 
강제로 결혼을 시키기도 하였지만 그때마다 초야만 치르고는 도망처 나와
 
자야품으로 돌아오길 3번씩이나 했다,
 
그러나 백석은 부모님을 생각하며 장남인 자신과 봉건적 사고에서 많이 괴로워 하면서도
 
자야에 대한 사랑은 변함이없어 자야에게 아무도 모르는 만주로 도망 가자고 설득했지만
 
백석의 앞길을 막을까 두려워하는 자야는 이를 거절하며 괴로워 했다고 한다,
 
세월은 흘러 1939년 백석은 부모님의 낙향종용을 뿌리치고
 
사랑하는 자야를 두고 시 백편을 써오겠다며 만주신경으로 떠났는데
 
이것이 자야에게 백석과 영원한 이별이 될줄은 꿈에도 몰랐다,
 
드디어 해방을 맞아 백석은 이것저것을 정리한후 한걸음에 달려왔지만
 
휴전선이 가로막혀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으며
 
두 사람은 영원한 이별을 맞게 되었다,
 
그뒤 시인 백석은 북한대학에서 국문학을 강의하고 지냈으며
 
자야는 남한에서 성북동의 청암장이라는
 
한식당을 사들여 이를 요정으로 꾸미고
 
그 동안 갈고 닦은 재주를 마음껏 뽐내며 열심히 노력한 끝에
 
서울 장안에서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3대요정 “대원각”을 만들었다,
 
이 대원각 요정이 훗날 1000억원대의 부를 창출하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평생동안 밤낮으로 백석을 그리워 했으며
 
백석의 생일인 7월1일이되면 하루동안 일체의 음식을 먹지않고
 
그님을 그리워하며 지냈다 한다,
 
노년의 자야는 백석의 시를 조용히 읽는 것이 생의 가장 큰 기쁨이었으며
 
“백석의 시는 자신에게 있어 쓸쓸한 적막(寂寞)
을 시들지 않게하는
 
맑고 신선한 원천수였다“고 말하였다,
 
김영한(金영韓.1912~1999)
기명: 진향(眞香)
 
호(號):자야(子夜), 법명(法名):
길상화(吉祥華)
 
시인 白石(본명 : 백기행1912 ~1995)
 
그럼 여기서 백석이 자야를 위해 지은 시를 보기로해요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燒酒)를 마신다,
 
소주(燒酒)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가자 출출이(멧새)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오막살이)에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올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팔순을 바라보는 그녀가 오랜 기다림의 이야기를
 
(내 사랑 백석) 이라는 책으로 출간한 무렵(1995년 1월)
 
백석은 북녘 하늘아래 어느 초라한 산골마을에서
 
83세의 일기로 조용히 눈을 감았다,
 
그뒤 1988년 백석이 월북작가 해금조치가 있은후
 
그래서 우리는 학교에서 그에 대해 배운 적이없다
 
그녀는 1997년 현금 2억원을 창작과 비평사에 출연하여
 
"백석문화상"을 제정하였고
 
매년 시집을 대상으로 수상작을 발표하게 되었다,
 
1999년부터 시상했는데 상금은 천만원으로
 
지금도 매년 백석 문학상을 수여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자야는 법정(頂)스님의
“무소유” 를 읽고 크게 감명을 받아
 
싯가 천억대의 대원각을 시주 할테니
 
사찰로 만들어 달라고 법정스님에게 부탁 했다,
 
그러나 법정스님은 너무 큰 재산에 놀라고
 
또 기생들이 몸파는 요정이라 줄곧 사양하다가
 
1995년 마침내 이를 받아들여 조계종에 등록하고
 
1997년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이름을 지어
 
같은해 12월14일 창건법회를 열게 되었다,
 
길상사 창건법회날 자야 김영한 보살은
 
법정스님으로부터 염주하나와 길상화(吉祥華)라는 법명을 받았어요
 
그날 그는 “저는 죄 많은 여자입니다 저는 불교를 잘 모릅니다만
 
저기 보이는 저 팔각정은 기생들이 옷을 갈아입는 곳이었다,
 
저의 소원은 저곳에서 맑고 장엄한
 
법종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이다“ 라고 했다,
 
길상화 김영한 보살은 1999년 11월14일 목욕재계하고
 
본인이 기부한 길상사에 와서 참배하고
 
길상사내에 있는 길상헌에서
 
백석을 그리워 하며 조용히 눈을 감았다 한다,
 
그래요
 
깨달음에 이르는길은 오직 두가지가 있다 하는데
 
하나는 자기자신을 속속들이 지켜보면서
 
삶을 거듭거듭 개선하고 심화시켜가는 명상의 길이고
 
다른 하나는 이웃에 대한 사랑과 실천을 행하는 것이라 한다,
 
하나는 지혜의 길이고 하나는 자비의 길이라 랬다,
 
남자건 여자건 누구나 평생을
 
가슴속에 묻어두고 사는 연인 하나쯤은 있을수 있다,
 
문제는 그것이 대부분 남편이나 아내가 아니라는 점이겠지만
그 연인이란 영화나 문학작품속의 주인공일수도 있으나
 
간혹 현실속에서 이루지못한 애틋한 정인(情人)일수도 있으며
 
그것은 일생을 두고 아릿한 아픔이 될수도 있다,
 
물론 이런 아픔은 어떤면에서 '내 안의 행복'이라 말할수도 있겠다,
 
옛말에 “추억이 많은 사람은 가난하지 않다” 고 했다,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은 어린시절 읽었던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슬픔” 에서
 
유부녀 “롯데” 를 잊지않고 있다가
 
회사 창업시 기업이름으로 썼으며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은 어릴적 첫사랑을 잊지못하고
 
소떼를 몰고 3.8선을 넘어
 
찾아 갔지만 끝내 만나지 못하였다,
 
피카소는 자신이 진실로 사랑한 연인들을
 
곧잘 그의 아름다운 화폭에 담기도 했다,
 
우리 근현대사에서 수많은 여인들의 지고한 사랑이야기는 많지만
 
기생 진향의 곧은 절개는 현대에 사는 우리에게
 
많은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첫사랑을 죽을때까지 지켜낸 여인!!
 
그 사랑을 위해 모든것을 다 받친 여인!!
 
그 여인이야 말로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가를 일깨워 주고 있다,
 
마지막 불꽃을 "무소유"라는 크고 깊은 법문으로 승화스킨
 
기생 진향의 숭고한 뜻을 오늘에 사는 우리들은 잊지 말어야 할것 같다,
 
삼고초려(三顧草廬) 끝에 길상사를 창건하시고
 
무소유를 설파하신 법정스님 또한
 
고매한 큰 스님이라 아니할수 없다,
 
“꼭 필요한것만 소유하라
 
 보다 단순하게 살아라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살아라
 
나눔의 기쁨을 누리는 맑고 향기로운 삶을 살라“ 고 하셨던
 
큰스님의 가르침은 기생 진향의 숭고한 뜻과 함께 우리들의 가슴에
 
싱그럽고 향기로운 메아리로 울려 퍼지고 있다,
 
참고로 법정스님이 입적한 날은 2010년3월11일이나
 
음력날자(1월26일)로 추모를 하는 불교전통에 따라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서는
 
매년 법정스님의 추모법회를 음력1월26일날 봉행한다,
 
길상사(대원각)는 3공화국 시절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서울의 3대 요정의 하나였다,
 
 대원각 주인이었던 김영한 여사가 7000여평의 대지와 건물 40여동의 부동산을
 
법정 스님에게 시주를 하면서 길상사가 만들어 졌다.
 
                    ( 옮긴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