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이야기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책 내용 요약소개

장호열 2013. 12. 7. 12:41

이 책이 다른 이론서와 다른 점!

 

1. 춤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 파트너와 춤을 추기위해서는 각 피겨의 스텝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춤동작을 익히기 위해서는 동영상도 좋지만 동영상을 보고 춤동작을 따라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이미 상급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초급수준에서는 족형도를 보고 춤동작을 연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 책에서는 모던 편에서 약 150여개 이상 라틴편에서 약 150여개 이상의 족형도를 그려넣어 초급에서 상급까지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2. 댄스스포츠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두 가지 오해를 없애준다.

 

 첫째, ‘댄스스포츠란 반드시 특정 파트너와만 출 수 있는 춤’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회전량이나 풋워크 등 댄스기술과 리드(lead) 및 폴로(follow) 요령을 정확히 알면 언제 누구를 만나더라도 능숙하게 춤을 출 수 있다. 특정 파트너와만 출 수 있는 춤이 아니다. 다만 댄스이론에 바탕을 둔 연습이 전제되었을 때 가능하다. 이론을 제대로 알고 있으면 좀더 빨리 동작을 이해하고 몸에 익힐 수 있다. 탄탄한 기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댄스스포츠란 반드시 정해진 스텝의 순서인 루틴(routine)이 있어야 출 수 있는 춤’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피겨들을 충분히 연습하고 각 피겨들을 연결하는 기본 원리들을 터득하기만 하면 정해진 루틴 없이도 즉석에서 여유 있게 자유자재로 춤을 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법원 공무원 출신답게 꼼꼼하고 상세하게 그 원리들을 짚어준다. 대부분의 댄스스포츠 입문자들은 문화센터 등의 교양강좌를 통해 춤을 배운다. 거의 모든 문화센터에서는 강사가 음악 한 곡에 맞춰 스텝의 순서를 미리 짜놓고 반복해서 가르친다. 그러니 그 수업을 같이 들은 댄스파트너와 그 춤만을 출 수 있게 된다. 저자는 그것이 늘 답답했다. 왜 이런 피겨로 연결되는지, 다른 피겨로 연결할 수는 없는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점들을 하나하나 스스로 부딪치며 해결해나갔다. 바로 이러한 저자의 노하우가 이 책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모던댄스 편]

 

목차 TOP개정판을 내면서(개정판 서문)
들어가는 글(초판 서문)

Part 1_댄스스포츠에 관한 일반 상식
1. 댄스스포츠란?
2. 댄스스포츠의 종류
3. 댄스스포츠와 건강과의 관계
4. 댄스스포츠의 예절 및 의상
5. 댄스스포츠와 파트너

Part 2_댄스스포츠의 3요소
1. 음악: 음악 듣기 | 모던, 라틴댄스 음악 구별 요령 | 댄스의 이해를 돋기 위한 음악 용어 | 댄스스포츠 종목별 박자, 템포, 리듬의 특성
2. 워크: 음악에 맞춰 걷기 | 댄스 워크 방법 | 댄스는 실제 연습이 최고 | 전, 후진 연속 워크 | 아름다운 워크를 위해 중요한 댄스기술
3. 텐션: 텐션의 개념 | 리드와 폴로 |파티장에서 춤추다 스텝이 잘못된 경우 | 댄스 학습에 있어서 루틴은 필요 없는 것일까?

Part 3_ 모던댄스
1. 왈츠: 왈츠의 기원 | 왈츠 기본 스텝 연습 요령 | 왈츠 출 때 명심해야 할 점 | 왈츠 호흡법 | 왈츠 스텝의 시작 타이밍 | 왈츠 시작의 예비보 | 남성의 리드 요령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불특정 상대와 왈츠 추는 요령 | 선, 후행 피겨의 정리
2. 탱고: 탱고의 기원 | 특징 | 워크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불특정 상대와 탱고 추는 요령 | 선, 후행 피겨의 정리
3. 폭스트롯: 폭스트롯의 기원 | 폭스트롯의 특징 | 폭스트롯의 풋워크와 라이즈&폴의 일반 법칙 | 포스트롯 기본 워크의 연습 방법 | 폿스트롯의 음악에 맞춰 스텝하는 방법 | 폭스트롯의 시작 방법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폭스트롯 추는 방법 | 선, 후행 피겨 정리
4. 퀵스텝: 퀵스텝의 기원 | 슬로우 리듬댄스 배우기 | 퀵스텝의 풋워크와 라이즈 & 폴의 일반 법칙 | 포워드 & 백 록의 몸 방향 | 퀵스텝 시작 방법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퀵스텝 추는 방법 | 베리에이션 | 선, 후행 피겨의 정리
5. 비엔나왈츠: 비엔나왈츠의 기원 | 비엔나왈츠 요령 및 특징 | 비엔나왈츠의 피겨 | 비엔나왈츠 시작 방법 | 비엔나왈츠를 출 때 주의할 사항

부록: 댄스 용어 해설 | 참고문헌

본문중에서 TOP우리가 현재 댄스스포츠라고 부르는 모던스탠더드볼룸댄스 5개 종목(왈츠, 탱고, 퀵스텝, 폭스트롯, 비엔나왈츠)과 라틴아메리카볼룸댄스 5개 종목(룸바, 차차차, 삼바, 파소도블레, 자이브)은 일종의 ‘사교춤’이라고 할 수 있다. 사교춤이란 원래 비교적 배우기 쉬운 피겨로 사교를 위해 연회장이나 무도장에서 남녀가 짝을 이루어 추는 왈츠, 탱고 등의 볼룸댄스를 지칭하는 용어다. 그런데 이 볼룸댄스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전 이미 ‘사교춤’으로 불리고 있던 지르박이나 블루스와 구분하기 위해 ‘댄스스포츠’라는 용어를 쓰게 된 것이다.
(/p.20)

운동의 기본은 걷기다. 댄스스포츠는 바른 자세와 과학적인 걷기가 필수적이어서 현대인에게 이보다 더 좋은 스포츠는 없다. 댄스스포츠는 온몸을 사용함으로써 신체의 균형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허리나 관절의 통증을 없애주며 척추를 바로잡아 올바른 체형과 아름다운 몸매를 만들어준다.
음악을 들으면서 즐겁게 몸을 움직이는 댄스스포츠는 우리 몸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다이어트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과체중이던 사람이 댄스스포츠를 1년 동안 열심히 해서 10kg을 거뜬히 뺀 이야기는 흔하게 들을 수 있다. 댄스스포츠의 걷기는 대퇴근의 수축과 확장 운동이 함께 이루어져 처진 히프를 올려주고 아랫배를 들어가게 한다. (/p.27)

텐션에는 긴장, 압박, 장력 등의 의미가 있는데, ‘긴장’이란 정신적인 면과 관련되고 ‘압력’은 기체에 가하는 힘과 관련되므로 춤에서의 텐션은 물리적인 힘을 나타내는 ‘장력’이란 의미가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초급자의 경우 실제로 남녀가 서로 손을 잡고 텐션을 우지하려면 상당히 어렵다. 부단히 연습해야 터득할 수 있는 쉽고도 아주 어려운 개념이다. 남자가 10의 힘으로 밀면 여자도 10의 힘으로 밀고, 10의 힘으로 당기면 상대방도 10의 힘으로 당긴다는 개념이다. 요약하면 남자의 작용 힘만큼 여자도 똑같은 반작용 힘을 유지해야 한다는 뜻이다.
(/p.89)

댄스 학습에 있어서 루틴은 필요 없는 것일까? 리드가 정확하다면 루틴 없이도 능숙하게 춤을 출 수 있다. 그러나 댄스스포츠는 커플댄스이므로 상대의 춤 실력은 천차만별이다. 춤 실력이 어느 단계에 오르기까지는 루틴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파티장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상대와 춤을 추기 때문에 자기가 배운 루틴대로 춤을 출 수는 없다. 그러므로 댄스학습에 있어서는 루틴을 정해놓고도 해야 되고 루틴 없이도 해야 한다.
(/p.103)

저자소개 TOP장호열 [저]

1978년 법원행정고등고시에 합격, 28년 동안 법원공무원으로서 대민봉사를 위한 사법행정에 기여해 오던 중, 소박한 성공 뒤로 시시때때 찾아오는 삶의 피로와 허탈감을 잊기 위해 찾아낸 것이 바로 댄스스포츠의 역동적인 움직임이었다. 2002년~2003년 2년 동안 경기대학교 사회교육원 댄스스포츠코치아카데미 2,1급 과정을 수료하고 지도자 자격을 취득하면서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게 되었다. 법원공무원교육원장(차관급) 재직시(2005.1.1.-2006.12.31.)에는 사법부 최초로 법원공무원의 문화교양 강좌에 댄스를 도입하여 춤바람을 일으켰다.
춤을 잘 추고 싶지만 몸과 시간이 따라주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이제 댄스파티에서 맘껏 자신의 실력을 뽐내볼 비법을 이 책으로 전수한다.
1978년 법원행정고등고시에 합격, 28년 동안 법원공무원으로서 대민봉사를 위한 사법행정에 기여해 오던 중, 소박한 성공 뒤로 시시때때 찾아오는 삶의 피로와 허탈감을 잊기 위해 찾아낸 것이 바로 댄스스포츠의 역동적인 움직임이었다. 2002년~2003년 2년 동안 경기대학교 사회교육원 댄스스포츠코치아카데미 2,1급 과정을 수료하고 지도자 자격을 취득하면서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게 되었다. 법원공무원교육원장(차관급) 재직시(2005.1.1.-2006.12.31.)에는 사법부 최초로 법원공무원의 문화교양 강좌에 댄스를 도입하여 춤바람을 일으켰다.
춤을 잘 추고 싶지만 몸과 시간이 따라주지 않았...

 

[라틴댄스 편]

 

Part 1_댄스스포츠에 관한 일반 상식
1. 댄스스포츠란?
2. 댄스스포츠의 종류
3. 댄스스포츠와 건강과의 관계
4. 댄스스포츠의 예절 및 의상
5. 댄스스포츠와 파트너

 

Part 2_댄스스포츠 음악과 텐션의 이해
1. 음악: 음악 듣기 | 모던, 라틴댄스 음악 구별 요령 | 댄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음악 용어 | 댄스스포츠 종목별 박자, 템포, 리듬의 특성
2. 텐션: 텐션의 개념 | 리드와 폴로 | 파티장에서 춤추다 스텝이 잘못된 경우 | 댄스 학습에 있어서 루틴은 필요 없는 것일까?

 

Part 3_ 라틴댄스
1. 라틴댄스의 개요: 라틴댄스의 범주 | 라틴 자세 만들기 | 라틴댄스의 악센트 | 홀드 | 풋 체인지
2. 룸바: 룸바의 기원 | 특징 | 자세 | 워크 | 쿠카라차 | 스폿 턴요령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룸바 추는 방법
3. 차차차: 차차차의 기원 |차차차 음악의 특징 | 차차차의 시작 방법 |록 스텝 요령 | 샤세의 종류  | 베이식의 종류 | 차차차의 과파차 타이밍 | 폿 턴의 요령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차차차 추는 방법
4. 자이브: 자이브의 기원 | 자이브 리듬의 발달 과정 | 자이브의 특징 | 자이브 샤세의 종류 | 자이브의 풋워크 | 자이브 베이식과 폴어웨이 록의 분습법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자이브 추는 방법
5. 삼바: 삼바의 기원 | 삼바의 특징 | 1 a 2의 박자 길이 분석 | 굴신 운동 | 위스크의 연습 방법 | 크리스 크로스 볼타 | 삼바의 시작 방법 | 댄스파티에서 루틴 없이 삼바 추는 요령
6. 파소도블레: 파소도블레의 기원 | 파소도블레의 특징 | 춤의 시작 | 피겨의 리드 방법 및 후행 피겨

 

부록: 댄스 용어 해설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