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트로트

Foxtrot의 Natural turn 1∼3보 다음의 후행 피겨(chasse roll to right)의 여성 1보는 in인가 out인가? -2

장호열 2017. 12. 26. 11:44

Foxtrot의 Natural turn 1∼3보 다음의 후행 피겨(chasse roll to right)의 여성 1보는 in인가 out인가?를

이해하려면  왈츠나 퀵스텝에 나오는 Open Natural Turn 또는 Passing Natural Turn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Open Natural Turn from PP or Passing Natural Turn from PP is an adaptation of the Foxtrot Natural Turn from Promenade Position. As there is no Promenade Position in the ISTD syllabus, this figure is only part of the IDTA syllabus.

PP로부터 ‘Open Natural Turn’ 또는 PP에서 ‘Passing Natural Turn’은 Promenade Position에서 Foxtrot Natural Turn를 응용한 것이다. ISTD 교과목에는 Promenade Position이 없으므로 이 피겨는 IDTA 교과목의 일부 이다(즉 IDTA에 나오는 피겨다)

위 영문에서 보는 바와 같이 Open Natural Turn 또는 Passing Natural Turn은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에서 나온 피겨다.


 Open Natural Turn 또는 Passing Natural Turn의 댄스기술은 아래와 같다.

(왈츠와 퀵스텝에 공통된 figure)

왈츠의 open natural turn 123과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123의 3보의 공통점은 발을 모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점에서는 왈츠와 폭스트로트가 같지만 왈츠의 open natural turn 123보의 3보는 남녀 모두 side leading을 하며 여성이 다음 속행 스텝의 1보를 남성의 outside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왈츠의 open natural turn 123 - chasse roll to right 12&3의 여성 1보는 out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SQQ의 3보는 발을 모으지 않고 벌린다. 이점에 있어서는 왈츠의  open natural turn 123과 비슷하지만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SQQ의 3보는 side leading이나 CBMP라는 댄스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LOD 배면'이라고만 되어 있다.


그렇다면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SQQ - chasse roll to right SQ&Q의 댄스 피겨 조합은 여성이 'In'으로 진행하는 것이 trouble이 적을 것이다.


굳이 out으로 리드하고 싶으면 폭스트로트의 natural turn SQQ의 3보를 우측 side leading 이나 CBMP의 댄스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단순히 개인적인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