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

closed promenade(S Q Q S)의 step 요령-6(탱고)

장호열 2013. 10. 8. 06:41

closed promenade(S Q Q S)의 step 요령

○ closed promenade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241-243쪽}
- step 요령
S Q Q S = S(Q+Q) Q Q S(Q+Q) = Q Q Q Q Q Q = 1 2 3 4 5 6의 분습법으로 설명한다.
S의 walk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여서는 중․상급자의 경우를 설명한다.


1 : 축이 되는 오른다리를 rotation(or press)하면서 밀어서
2 : 왼발 스텝
3 : 오른발 스텝
4 : 왼발 스텝
5 : 축이 되는 왼다리를 press 또는 당겨서
6 : 오른발 스텝
실재로 춤을 추다보면 프로선수는 모르겠지만 초․중급의 경우는 뒤따르는 스텝은 가능한 늦게 끌어 모을 수가 있는데, 선행하는 앞발을 한 템포 늦게 스텝 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지만 실재 step은 그렇게 안 된다는 뜻이다.
이 경우는 숫자로 카운트하면서 숙달하는 방법이 있다.
앞에 예를 든 closed promenade의 경우 1(press) 2(스텝) 3(스텝) 4(스텝) 5(press) 6(스텝)과 같이 S의 경우 1번째 Q은 축이 되는 발 위에서 로테이션(rotation)하고 2번째 Q에서 step를 한다.
연습 방법은 S = Q + Q = 1(one) + 2(two) = 슬 + 로 = 슬로 + & = rotation + step, 이와 같이 ‘one two’로 하던 ‘슬 로’ 또는 ‘슬로 엔’으로 하던 편한 대로 연습한다.
- 기술적 설명
closed promenade(S Q Q S)
선행 figure가 PP로 끝난 후 동작을 멈추지 말고 다음 동작으로 들어가는 준비를 한다.
PP상태로 supporting foot이 되는 발 위에서 body가 ‘정지’해서는 아니 되고, supporting foot을 press하면서 신체는 계속 움직인다.
PP로부터 제1보를 start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tap foot(남성;왼발, 여성;오른발)부터 움직이는데, supporting foot이 되는 발로 press한 만큼 tap foot이 나아간다고 생각한다. 즉, tap하고 있는 발로 보폭을 벌리려고 하지 말고 supporting foot이 되는 발로 확실하게 바닥을 press하고 이 발이 마루바닥을 밀어서 그 power로 전진한다.
1보 째를 예리하게 나가기 위해서는 PP에서 확실하게 준비해서 주저하지 말고 일격에 즉 한 번에 나간다.
PP는 서로 상대가 있는 방향으로 약간 밀고 가는 느낌으로 진행한다. PP로 진행할 때 두 사람의 몸이 멀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하면 closed가 잘 안 된다.
PP로부터 1보 째는 바깥쪽 발이니까 진행하는데 별 문제가 없는데, 2보 째 발을 보낼 때 반드시 CBM(발의 위치 CBMP)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PP가 벌어져 모양이 나쁘다.
두 사람의 몸이 겹쳐져 있으면 2보 째에서 안쪽을 통과할 때 발을 다치게 되고 무릎도 벌어지게 된다. PP에서는 남녀의 body가 서로 어긋남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성은 2~3보 사이에 1/4좌로 회전을 끝낸다. 즉 4보 째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발을 모으기만 한다.
탱고의 휘겨 중 closed promenade는 간단하면서도 LOD로 진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휘겨이므로 정확히 알아두면 편리할 때가 많다. 춤을 추다 후행 휘겨를 잊어버린 경우 closed promenade와 같이 간단한 휘겨를 사용하면서 후행 휘겨를 생각해 내면 임기웅변이 될 수 있다.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241-243쪽}

* 초급수준일 때 S(Q+Q)를 스텝할 때 첫 Q에 발이 나가고 Q한박자 쉬고 다음 스텝을 하게 된다.

처음 배울 때는 선생님들이 자세한 기술적 설명은 안한다.

중상급 수준을 가르치는 선생님은 춤을 좀 더 역동적으로 보이기 위해  오히려 첫 Q에 누르고 두번째 Q에 발을 나가라고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