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ning Finish(SQQS or QQSS)의 Alignment
Running Finish(러닝 피니시)는 퀵스텝에 나오는 피겨지만 리드에 자신 있는 댄서라면 왈츠나 폭스트로트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Running Finish의 회전량은 3/8이 기본이다. 선생님들도 그렇게 가르치고 외국 동영상의 외국 선생님들도 3/8 turn을 기본으로 하여 가르치고 있다.
그런데 댄스 교재에는 Running Finish는 다른 alignment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Facing alignment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기본적인 dance technique은 같고 다만 amount of turn(회전량)만 다르다.
The running finish may be commenced in other alignments. Man may turn 1/4 between 1-2 when a facing alignment would be used. Lady would turn 1/8 between 1-2, 1/8 between 2-3.
When a 1/4 turn is made on the running finish. the second step will have a ‘facing’ alignment.
그런데 단체반 레슨에서 선생님 중에는 running finish(SQQ) – feather step(SQQS)을 가르칠 때 running finish의 회전량이 3/8 또는 그 이상이 되는데도 feather step의 남성 오른발 1보를 in으로 들어가라고 한다.
실제로 춤을 춰보면 in으로 들어가기가 매우 힘들고 자동적으로 좌측 사이드 리딩이 되어 CBMP, OP가 된다. 굳이 in으로 들어가려면 남성 3보에서 ‘여성을 완전히 남성의 앞으로 발과 몸이 향하도록 리드’해야 한다.
그런데 회전량이 많을 때는 ‘여성을 남성 앞으로 일직선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힘들다. 그렇다면 굳이 in으로 들어가라고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리드에 자신 있는 남성이고 춤을 아주 잘 추는 파트너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말이다.
위 영문에서 보듯이 ‘facing’ alignment를 사용하여 남성은 1∼2보에서 1/4 turn을 하고 2보에서 facing alignment로 만들면 매끄럽게 춤을 출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경우는 자동적으로 in으로 리드가 가능해 진다.
이런 여러 상황을 연습해 보면 사람이 많은 댄스파티에서 여성을 리드하는데 자신감이 붙을 것이다.
'폭스트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치동 평생학습관 이애봉 선생님 폭스트로트 루틴(10, 11, 12월) (0) | 2016.10.24 |
---|---|
Foxtrot의 Natural turn 1∼3보 다음의 후행 피겨(chasse roll to right)의 여성 1보는 in인가 out인가? (0) | 2016.04.20 |
Heel turn 리드 요령(폭스의 여성 리버스턴) ; man (0) | 2015.07.11 |
foot position - in OP ; closed telemark, running finish - feather step (0) | 2015.06.17 |
running finish - feather step ; 춤출 때 불편하면 책을 찾아보아라. (0) | 201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