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열의 댄스스포츠 스쿨 121-123쪽}
왈츠 1곡을 끝까지 출 때까지 명심해야 할 점
1) 볼 벨런스(ball balance)
왈츠 한 곡이 끝날 때까지 결코 힐에 체중을 완전히 옮기지 않는다. 풋워크(footwork)가 TH로 되어 있어도 체중은 볼에 두어야지 힐에 두지 않는다. 힐에 두면 몸이 뒤로 기울어져 보기 싫게 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춤이 무겁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힐은 마루바닥에 닿아 있으면 족하고 체중을 100% 이동해서는 아니 된다. 그러나 오픈 또는 클로즈드 임피터스(open or closed impetus)의 힐 턴(heel turn)처럼 힐에 체중이 완전히 이동 후 회전하는 휘겨가 예외적으로 있다.
2) 보디 컨텍(body contact)
남녀 몸의 접촉한 부분에 손수건을 끼워 놓았을 때 왈츠 한 곡이 끝날 때까지 손수건이 마루바닥에 떨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손수건이 떨어지지 않고 스텝를 하려면 남녀 두 사람의 신체가 항상 일정한 장력(텐션)으로 접촉되어 있어야 한다. 체중을 왼발에서 오른발 또는 오른발에서 왼발로 순간적으로 폴싹 폴싹 이동하게 되면 몸의 균형이 잡히지 않는다. 물론 초보자는 혼자 분습법으로 베이직(basic)을 열심히 연습하여야겠지만 초보단계를 넘어선 경우는 남녀가 함께 홀드하고 분습법으로 왈츠 베이직을 열심히 연습하여 보디 컨텍(body contact)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3) 스위트 스포트(sweet spot)
sweet spot란 직경 10cm 원의 크기로 골프 클럽․라켓․야구 배트 등에서 공 맞히기에 가장 좋은 곳을 뜻한다. 댄스에서는 직경 10cm의 원안에 남녀의 4발이 들어가야 한다.
10㎝ 원안에 남녀 발 4개가 어떻게 들어가느냐고 의문이 들지 모르지만 볼에 체중을 두면 상체가 앞으로 약 5㎝ 정도 기울어지기 때문에 직경 10㎝ 원 둘레에 볼이 위치하면 될 것이다.
특히 내추럴 스핀 턴 4보의 경우 여성의 회전을 돕기 위해 대부분의 남성들은 지나치게 왼쪽 옆으로 왼발을 빼는 경향이 많다. 여성은 전진 스텝을 하는데 남성이 후진을 안 하고 옆으로 발을 빼면 여성은 회전하기 수월할지 모르지만 스위트 스포트를 만들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춤이 아름답지 못하다.
4) 왈츠는 물 흐르듯 춘다.
왈츠는 물 흐르듯 춘다. 춤 경력이 상당한 사람도 왈츠 베이직의 1보를 하고 나서 2보로 나갈 때 1보에서 순간적으로 멈추는 듯 한 느낌으로 추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예컨대, 남성 왼발 전진 1보에 오른발이 바로 뒤 따라 왼발 옆에 붙인 후에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2보로 나아가는 느낌을 말한다. 정지한 느낌이 들지 않으려면 1에서 오른 무릎이 왼 무릎을 스치면서 바로 옆으로 오른발을 벌린다. 스텝과 스텝사이를 연결할 때 순간적인 멈춤 동작이 나타나서는 아니 된다.
그러나 춤에 따라서는 차차차와 같이 춤을 역동적으로 보이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스톱(stop)하는 동작(2 3 4 & 1을 2 3 4 & stop으로 연습하는 경우)을 하는 경우는 있다.
{장호열의 댄스스포츠 스쿨 121-123쪽}
'왈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틴없이 춤추기 위한 초급단계(왈츠)-4(closed impetus, back whisk) (0) | 2013.09.06 |
---|---|
루틴(순서)없이 춤추기 위한 아주 초보단계(왈츠) - 3(open impetus) (0) | 2013.09.03 |
루틴없이 춤을 추기위한 아주초보단계(왈츠) - 2(natural turn, reverse turn) (0) | 2013.08.30 |
루틴없이 춤추기 위한 아주 초보단계(왈츠) - 1(음악, walk, tension) (0) | 2013.08.29 |
스퀘어 스텝 또는 박스 스텝 (0) | 201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