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파티장에서 routine 없이 cha cha cha 추는 요령
1) cha cha cha basic 연습
cha cha cha basic을 아래 순서대로 매일 연습한다[차차차(4) ; chasse의 종류 참조].
우선 차차차 시작 자세를 취한다. 베이직은 남녀가 나란히 서서 같은 발을 사용하면서 해도 된다. 남녀 공통으로 오른발 뒤로 point한 자세에서 1 2 3 4 & 1의 4 & 1에 오른발 전진 chasse한 후 왼발 전진 check 다음에,
closed basic[side chasse 2회 ; 2 3 4 & 1(왼쪽), 2 3 4 & 1(오른쪽)] → slip chasse(2 3 4 & 1) → hip twist chasse(2 3 4 & 1) → ronde chasse(2 3 4 & 1) → forward lock(2 3 4 & 1 2 & 3 4 & 1) → walk turning(2 3) back lock(4 & 1 2 & 3 4 & 1) → closed basic(side chase) 반복
2) three cha cha 요령
three cha cha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후진 three cha cha이고 또 하나는 side three cha cha다. side three cha cha에도 right side와 left side 두 가지가 있다.
forward & backward three cha cha는 앞에서 설명한 forward lock과 backward lock을 3번 반복하여 step을 밟으면 된다.
side three cha cha에도 right side와 left side 두 가지가 있지만 요령은 같다.
여기서는 편의상 left side three cha cha를 설명한다.
side three cha cha로 진행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선행 휘겨는 alemana다. 즉 alemana 후 hand to hand back check 한 다음 side - forward - side chasse를 한다.
턴을 할 때 마지막 박자의 & 타임에 하라는 뜻은 미리 턴을 하면서 step을 밟지 말라는 뜻이다.
[side chasse(4&1) 시 주의할 점]
․side chasse는 hip을 rotation 시키면서 나아간다.
․옆 진행방향의 일직선 가상선이 있다고 생각하고 발과 다리는 옆으로 가상선을 따라 진행한다. 가상선을 따라 진행하면 몸과 머리, 다리, 발 등 모두 평행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남성 left side chasse의 경우 우선 축이 되는 오른발 위에 hip을 확실히 얹고 엄지발가락을 힘차게 눌러 1보(4 count)에 왼발인 moving foot을 왼쪽 옆으로 step하면 남녀의 body가 평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가상선을 향해 모아지게 된다(진행 방향의 어깨가 가상선 쪽으로 약간 사선으로 향한다). 즉 진행방향으로 남녀의 어깨가 닫히게 된다(left side chasse의 경우 남 - 왼쪽 side, 여 - 오른쪽 side 가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2보(& count)에 오른발을 왼발에 모으면 체중이 모으는 발에 옮겨지므로 자연히 닫혔던 body가 진행방향과의 관계에 있어서 열리게 된다.
․3보(1 count)의 요령은 1보와 같다. 주의 할 점은 1 &의 & 타임에 hip을 축이 되는 발 위에 확실히 실어야 한다. 그러면 2보처럼 몸이 열리게 된다.
3) 휘겨와 휘겨의 link 역할을 하는 휘겨를 알아 둔다.
모든 춤에서 공통된 사항이지만 cha cha cha에서 휘겨와 휘겨를 연결하는 link 역할을 하는 휘겨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cha cha cha도 rumba와 마찬가지로 figure와 figure를 연결해 주는 link 역할을 하는 figure가 따로 없다. 따라서 cha cha cha를 배우면서 가장 쉬운 figure 또는 가장 많이 사용하여 몸에 익숙한 figure를 일단은 link역할을 하도록 염두에 둔다.
이러한 figure에는 spot turn, underarm turn, new york, hand to hand, shoulder to shoulder, open hip twist, fan, alemana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춤을 추다가 후행 휘겨가 생각이 안 나면 위 휘겨를 속행하면서 다음 휘겨를 생각해 낸다.
'차차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차차(7) ; chase (0) | 2014.03.28 |
---|---|
차차차(6) ; Follow my leader (0) | 2014.03.26 |
차차차(4) ; chasse의 종류 (0) | 2014.03.10 |
차차차(3) ; 백워드(backward) 록(lock) 스텝 : 왼발(4)-오른발(&)-왼발(1) (0) | 2014.03.03 |
차차차(2) : 포워드(forward) 록(lock) 스텝 : 오른발(4)-왼발(&)-오른발(1) (0) | 201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