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e 없이 춤추는 방법 - 종합요약
☞ 왈츠 베이직을 충분히 연습한 다음,·closed change 만으로 직사각형 내지 마름모를 그려본다.·closed change 만으로 계속 전진해 본다.·closed change 만으로 계속 후진해 본다.위 3가지를 혼합하여 남성이 여성을 마음대로 리드해 본다.
☞ 다음에 natural quarter turn을 4번하여 제자리로 온다.reverse quarter turn을 4번하여 제자리로 온다.
☞ quarter turn(90도 회전)과 closed change를 혼합하여 여성을 리드해본다.
☞ natural turn(135도 회전)을 8번하여 제자리로 온다.reverse turn(135도 회전)을 8번하여 제자리로 온다.
☞ closed change, quarter turn, natural turn, reverse turn을 혼합하여 여성을 마음대로 리드해 본다.
이 때 주의할 점은 회전각도를 정확히 지켜야 한다.
이상 설명한 것을 100% 소화했다면 루틴 없이 춤추기란 생각보다 훨씬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단체반 레슨은 어느 곳을 가더라도 루틴을 정해놓고 남성은 남성 루틴 휘겨를 가르쳐 주고 여성은 여성 루틴 휘겨를 가르쳐 주고 서로 잡고 춤을 춰보라고 한다.
이러한 레슨 방법대로 하면 홀드가 엉망이 되든, 리드가 되든 안되든 그 루틴대로 남녀가 춤을 출 수 있다.
그러니 처음 춤을 배우는 사람들은 댄스스포츠는 반드시 파트너가 있어야 되는 춤인 줄 안다.
춤이란 것은 루틴을 염두에 두고 배우고 익히면 발전이 없고 파트너가 바뀌면 상대를 리드할 자신이 없어진다.
(단, 루틴이 춤을 배우는데 있어서 전혀 무익한 것은 아니다. 루틴없이 춤을 추면 자기가 리드하기 편한 휘겨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은 휘겨를 잊어버리기 쉽다. 이런 경우 루틴을 정해놓고 춤을 추면 항상 여러 가지 휘겨를 잊어버리지 않고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
'어떻게 하면 루틴 없이 춤을 숙달시킬 수 있을까'를 항상 생각한다면 그 방법은 스스로 터득하는 날이 올 것이다.
▶ 왈츠 휘겨중 코너에서 방향 전환하는 휘겨와 LOD를 따라 진행할 수 있는 휘겨 조합(amalgamation)을 확실히 알아두어야 한다.
- 방향전환할 수 있는 휘겨·natural spin turn & reverse turn 4 - 6, natural spin turn & turning lock, natural spin turn & side cross, natural spin turn & reverse corte, open impetus, closed impetus등 여러 가지가 있다.
▶ 문제는 LOD상으로 진행하는 휘겨조합을 춤을 추면서 순간적으로 생각하여 여성을 마음대로 리드할 수 있느냐?
·우선 남성은 벽사로 서서,시작하는 방법은 예비보/natural turn 1-3 또는 closed change/natural turn 1-3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두번째 방법은 초급일 때 예비보 방법을 모를 때 사용한다.
그럼 natural turn 1-3 다음의 후행 휘겨는 어떤 것이 올 수 있는 지부터 연구 검토해보기로 하자.
·natural turn 1-3다음의 후행 휘겨로는 natural turn 4-6, closed change(왼발 후진) 두 휘겨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1).예비보 또는 closed change/natural turn 1-6/closed change/reverse turn 1-6/closed change/natural turn 1-6/closed change/reverse turn 1-6/closed change/를 반복하면 LOD를 따라 계속 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2).예비보 또는 closed change/natural turn 1-3/closed change(왼발 후진)/reverse turn 4-6/closed change/natural turn 1-3/closed change(왼발 후진)를 반복하면 LOD를 따라 계속 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홀은 4각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 진행하다가 방향을 바꿔야 한다. 그럴 때 방향전환 휘겨를 구사하면 된다.
위 (1), (2)의 예에서 LOD를 따라 진행하다가 적당한 위치에서 방향을 전환하고 싶으면 natural turn 1-3으로 끝내고 (natural) spin (turn)로 끝내거나 open impetus, closed impetus 등으로 끝내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3). natural spin turn을 사용한 경우는,후행하는 휘겨로 reverse turn 4 - 6을 연결해서 외워두면 좋다.
물론 natural spin turn 다음에 chasse to left로 직접 진행할 수도 있고 reverse corte, turning lock, side cross 등 후행 휘겨가 있지만 초 중급자는 reverse turn 4-6을 구사하면 여성을 리드하기가 가장 무난하다.
(4). open impetus를 사용한 경우는, 그 후행휘겨로 weave를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 그래서 open impetus 다음에 weave를 연결해서 외워두는 것이 좋다.
(5). closed impetus의 경우는 후행휘겨로 reverse turn 4-6을 연결해서 외워두는 것이 좋다.
(3), (5)의 경우는 reverse turn 4-6으로 끝났기 때문에 다시 (1)또는 (2)를 적당히 연결하면 LOD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1) (2) (3) (5)를 적당히 연결하면 4각형 마루바닥을 한바퀴 아니 두바퀴 그 이상도 돌 수 있다.
(4)의 경우는 open impetus 다음에 weave 후행 휘겨로 natural turn 1-3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weave를 PP로 끝낼 수 도 있는데...........PP로 끝내느냐? close 상태에서 natural turn 1-3으로 끝내느냐는 전적으로 남성의 리드에 달려있다.
리드와 텐션 즉 body contact과 tension이 제대로 되면 여성을 리드하는 것은 별 어려움이 없다.
▷ natural turn 1-3으로 끝났으면 우선 LOD 방향으로 더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야 한다.
더 진행할 수 있으면,순간적으로 LOD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휘겨를 생각해 내야한다.
예컨대, - natural turn 1-3/4-5/closed change/reverse turn 1-6/...........- natural turn 1-3/hesitation change/reverse turn 1-3 또는 double reverse spin/...........
▷ PP로 끝났으면,- weave ended in PP/chasse from PP/quarter turn/outside change/natural turn 1-3/...............
chasse from PP 다음에 바로 natural turn 1-3으로 끝낼 수도 있지만 LOD가 더 남았으면 quarter turn/outside change/natural turn 1-3/...............과 같이 더 진행할 수 있다.
사실 초보자가 춤을 추면서 순간적으로 후행 휘겨를 생각하면서 여성을 리드하기란 어렵고 힘들다.
그러나 평상시에 어느 휘겨를 구사하는 경우 항상 후행 휘겨를 생각하는 습관을 드린다면 루틴없이 춤을 추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어느 휘겨를 배울 때 선행 휘겨와 후행 휘겨를 잘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지만 실재로 춤을 출 때는 후행 휘겨만 알아도 춤을 추는데는 전혀 불편함이 없다.
처음으로 돌아가서,예비보 또는 closed change/natural turn 1-3/...., 다음의 후행 휘겨를 한번 생각해보자.
초보시절 특히 단체반레슨에서,①natural turn 1-3/4-6/closed change/reverse turn 1-3/4-6/whisk/chasse from pp/quarter turn/outside change/natural turn 1-3/을 가장 많이 가르친다.
그러나,②natural turn 1-3/closed change/reverse turn 4-6/whisk/chasse from pp/quarter turn/ outside change/natural turn 1-3/으로도 할 수 있다.
위 ①,② 방법은 거의 같지만 natural turn 1-3다음에 ②와 같이 휘겨를 조합한다면 루틴에 대한 고정관념을 상당히 바꿔놓을 것이다.
위 ①,② 방법으로 LOD를 따라 진행한 후 방향전환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natural spin turn &reverse turn 4 - 6으로 춤을 진행했다면 reverse turn 4 - 6 다음에 올 후행 휘겨를 순간적으로 생각해 내야 한다.
그러면 reverse turn 4-6 다음에 올 후행 휘겨는 어떤 것이 있을까?closed change, whisk, double reverse turn, open telemark, 등이 있다.
closed change 다음에는 natural turn 으로 휘겨를 연결해 가면 된다.whisk 다음에는 chasse from pp로 휘겨를 연결해 가면 되고,
double reverse turn 다음에는 2, 3번 그 이상 몇 번이고 double reverse turn을 할 수 있고
double reverse turn 다음에는 FR &SP(fallaway reverse &slip pivot), reverse turn 4-6등을 연결 할 수 있다.
open telemark 다음에는 chasse from pp 또는 left wing의 휘겨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가지 휘겨를 배울 때는 반드시 여러 가지 후행 휘겨를 연결해서 습득하는 습관을 기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예를 든다면,파티나 연습시간에 왈츠를 처음 시작할 때는 통상 예비보/natural turn 1-3 또는 closed change/natural turn 1-3을 사용한다.
그러면 natural turn 1-3 다음에 구사할 후행 휘겨를 생각해 보자.
통상 초보자들은
natural turn 4-6/closed change/reverse turn 1-6/whisk/chasse from pp/......를 많이 사용하는데...natural turn 1-3 다음에 바로 spin turn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open impetus로 연결하여 weave from PP로 속행하면 아주 멋진 춤이 될 것이다.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개정판(2013. 11. 28발행) 모던댄스편을 보면 각 춤 5종목 마다 선 후행 휘겨를 정리해 놓았고 아말가메이션을 한가지씩 예를 들어놓았다.
'왈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왈츠와 폭스트로트의 시작 예비보(남성 : 왼발 전진) (0) | 2014.03.04 |
---|---|
Quick open reverse ; 왈츠에서의 FOOTWORK (0) | 2014.02.24 |
왈츠에서의 quick open reverse의 footwork (0) | 2013.11.04 |
(waltz) natural turn 1-3의 후행 휘겨 outside change or back whisk의 여자 1보가 1n이냐 out이냐? (0) | 2013.10.23 |
왈츠 루틴 및 동영상 (0) | 201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