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츠

(waltz) natural turn 1-3의 후행 휘겨 outside change or back whisk의 여자 1보가 1n이냐 out이냐?

장호열 2013. 10. 23. 07:13

natural turn 1-3의 후행 휘겨 outside change or back whisk의 여자 1보가 1n이냐 out이냐?

natural turn(NT) 1-3의 후행휘겨로 outside change, back whisk가 올 때 여성의 전진 오른발이 남성의 양발 사이(in)로 전진하느냐 아니면 바깥(out)으로 전진하느냐?

시중에 나와 있는 영국 ISTD 모던댄스 해설판을 보면

1) outside change의 댄스기술
남자 ;                                            여자 ;
1 보 ; 왼발 뒤로                             1보 ; 오른발 앞으로
2보 ; 오른발 뒤로                            2보 ; 왼발 앞으로
3보 ; 왼발 옆으로 그리고 약간 앞에    3보 ; 오른발 옆으로 그리고 약간 뒤에
로 되어 있고,
‘선행 reverse corte 다음에는 (남자)스텝 1은 CBMP, 여자 OP로’라고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위 설명으로 보아 NT 1-3보 다음의 outside change의 여자 1보는 in으로 전진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외국 교육 동영상을 보아도 NT1-3다음에는 모두 in으로 가르친다.

그런데 선생님에 따라서는 이 경우(NT1-3)에도 남녀 1보를 CBMP로 여자를 OP로 진행하라고 가르친다.
어느 것이 맞고 틀린다기 보다는 NT1-3다음에 남녀가 CBMP로 여자를 OP로 진행시키려면 상당한 트라블이 생기고 진행방향을 지키기도 힘들다는 사실이다.

이런 문제는 NT1-3의 후행 휘겨 back whisk에도 똑 같이 생긴다.

2) back whisk의 댄스기술
남자 ;                                                         여자 ;
1보 ; 왼발 뒤로, CBMP                                   1보 ; 오른발 앞으로, CBMP, OP
2보 ; 오른발 비스듬히 뒤로                              2보 ; 왼발 옆으로
3보 ; 왼발, 오른발 뒤에서 크로스, PP                3보 ; 오른발, 왼발 뒤에서 크로스, PP

선행 1-3 내추럴 턴(백 휘스크의 1스텝을 인 라인으로)
라고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in line’의 댄스용어는 ‘파트너를 정면으로 해서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있다.
위 설명대로 라면 여성은 1보를 in으로 전진해야한다.
그렇다면 댄스기술에는 CBMP, 여자 OP로 설명되어 있어도 이 경우에는 CBMP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전후진하면 될 것 같다.
외국 교육동영상에도 NT1-3 다음의 back whisk는 여자가 in으로 진행한다고 가르친다.

그런데 선생님중에는 NT1-3 다음의 back whisk를 굳이 여자 OP로 진행하라고 가르친다.
이것도 outside change와 마찬가지로 어느 것이 맞고 틀린다기 보다는 NT1-3다음에 남녀가 CBMP로 여자를 OP로 진행시키려면 상당한 트라블이 생기고 진행방향을 지키기가 힘들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남자가 통상의 NT1-3을 하고 spin turn을 하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옆공간에 다른 커플이 있어 진행하기 어렵다면 back whisk를 하면서 음악 1소절을 사용한 후 옆공간이 생겼을 때 weave 등 다음 휘겨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back whisk) in line으로 진행하여야지 CBMP를 걸던가 하면 오히려 여자가 혼란스러울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