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

코너에서 방향 전환하는 figure ;natural twist turn(NTT) -9(탱고)

장호열 2013. 10. 15. 17:11

natural twist turn(NTT)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257-259쪽]

초급자에게는 좀 어려운 휘겨이지만 숙달되면 방향 전환하는데 아주 많이 사용된다.

우로 1회전(360도)과 3/4회전(270도)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회전하는 경우는 LOD를 따라 더 진행하면 되고, 3/4회전은 코너에서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남성 4보(S)의 경우 오른발을 왼발 뒤에서 cross할 때 때 남성의 오른쪽 어깨를 앞으로 내어줘야 여성이 당겨지지 않는다. 오른발을 왼발 뒤에서 cross를 할 때 오른쪽 어깨가 같이 뒤로 당겨져 몸이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여성의 4보까지는 거의 직진 스텝인데 여성이 왼쪽으로 회전이 시작되어 여성의 왼쪽이 당겨질 수 있다.
여성은 4보 때 왼발을 OP로 좌측 리딩을 준비하면서 앞으로 전진 한다.

후행 휘겨로는 모든 promenade figure가 올 수 있다.
- amalgamation
․progressive link - natural twist turn(코너에서 3/4 회전) - closed promenade -
․four step - natural twist turn(LOD 상 1회전) - natural twist turn(3/4 회전) - closed promenade -
파트너와 춤을 연습할 때 한 가지 휘겨 조합만 가지고 연습할 것이 아니라 어느 한 figure의 선행 후행 figure 조합을 여러 가지 만들어 숙달될 때까지 반복 연습한다.

[장호열의 댄스스포츠스쿨 257-259쪽]
☞ natural twist turn(NTT)과 natural promenade turn(NPT)의 lead 방법 구별
NTT와 NPT의 두 휘겨의 리드는 1~3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NTT와 NPT 두 휘겨의 1~3보의 댄스기술의 차이]
․1보 ; 두 휘겨의 남녀 1보는 모두 같다.
․2보 ; 여성은 두 휘겨의 2보가 모두 같지만 남성의 2보의 발 위치는 ‘오른발 앞으로, PP & CBMP’는 같지만 NTT의 경우는 ‘across’이고 발의 방향은 ‘LOD를 따라 벽사 pointing’이지만 NPT의 경우는 across가 아니고 발의 방향이 ‘벽사’로 전진이다.
․3보 ; 여성은 두 휘겨의 3보가 모두 같지만 남성의 3보의 발 위치는 오른발 ‘옆으로’는 같지만 NPT의 경우는 왼발을 옆으로 딛지만 ‘약간 뒤로’ 놓고 발의 방향은 NTT는 ‘중앙사 배면’인 반면 NPT는 ‘LOD 배면’이다.

그러므로 초보자의 경우는 NPT의 경우는 3보에 여성을 완전히(마주보면서) 가로막아서고 NTT는 비스듬히 막아서면 어느 정도 구볌하여 리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