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side change 1,2,3보와 Weave from PP 후반부 4,5,6보의 구별은 가능한가?
- Outside change 1,2,3보와 Weave from PP 후반부 4,5,6보의 구별은 가능한가?
--------------------------------------------
5
6 chasse to right (12&3)
7 outside change (또는 weave ending) (123)
8 natural turn (123)
9
-----------------------------------------
우리는 단체반 왈츠 레슨 시간에 간혹 위와 같은 루틴을 접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위 루틴에서 6 다음에 오는 피겨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일까?
1. 교과서 상에는 ‘중앙사 배면으로 마친 progressive chasse to right’의 후행 피겨로 outside change가 올 수 있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교과서상 outside change의 남성 1보는 ‘왼발 뒤로’이다. 그런데 progressive chasse to right의 남성 5보는 ‘왼발 뒤로, CBMP’로 되어있고 여성 5보는 ''오른발 앞으로, CBMP. OP'로 되어 있다.
그렇다면 outside change의 단독 피겨상의 남성 1보는 CBMP가 없지만 progressive chasse to right의 후행 피겨로 출 때는 남성 1보는 ‘왼발 뒤로, CBMP’로 추어야 한다는 설명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발 위치’만으로 볼 때는 outside change의 1보와 weave from PP의 4보는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
2. 어떤 분은 앞 휘겨가 마주보고 선 상태로 끝나고 좌로 방향 전환하며 발을 바꿀 경우 Outside Change를 써야하고, 앞 휘겨가 Outside 로 끝난 상태에서 좌로 방향을 전환하려면 Weave Ending 을 써야한다고 설명한다.
아마도 이분은 남녀가 Closed position으로 끝났으면 후행 피겨는 outside change로 보고 양발을 모으지 않고 벌어진 상태로 피겨가 끝나면 weave ending로 설명하는 것 같다.
3. 교과서상 outside change의 선행피겨는 1-3 natural turn, cross hesitation,
중앙사 배면으로 끝난 progressive chasse to right, reverse corte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reverse corte의 남성 1보는 CBMP, 여성 1보는 OP라고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progressive chasse to right는 양발이 벌어진 상태로 끝난다.
그렇다면 양발이 벌어진 상태에서의 outside change 1,2,3보와 weave frpm PP의 후반부 4,5,6보는 춤 모양으로만 봐서는 구별하기가 아주 애매하다고 생각된다. 교과서상에 기술된 회전량, 얼라인먼트, 풋워크 등과 같은 상세한 차이점을 찾을 수는 있겠지만 실제로 floor에서 춤을 출 때에는 정확한 댄스기술을 그대로 지킬 수 없는 점을 감안한다면 위 루틴의 피겨 명칭을 두가지로 한 선생님의 고충과 혜안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또한 선행 피겨에 따라 Outside change의 여성 1보가 in line(Natural turn 1-3)이냐 OP(Progressive chasse to right, Reverse Corte)냐는 Weave ending과는 별개 문제인 것 같다.
그렇다면 위 루틴의 7번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일까?
두가지가 옳은 것일까?
아니면 둘중 하나만 옳은 것일까?
다음 기회에 필자의 개인 의견을 올릴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