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t position - in OP ; closed telemark, running finish - feather step
foot position
풋 포지션의 뜻은 체중을 싣고 있는 발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발의 방향을 나타낸다. 예컨대 ‘오른발 전진’은 서 있는 왼발의 앞으로 오른발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파트너와 마주보는 정상적인 댄스 자세에서는 통상적으로 양발을 나란히 놓는다. 이 때 ‘오른발 전진’은 파트너의 양발 사이로(정확한 표현은 오른발선의 안쪽 방향) 발을 놓고 ‘왼발 전진’은 오른발 선의 바깥쪽 방향으로 발을 놓는다.
우리가 춤을 출 때 전진하는 사람의 발이 상대방의 발 사이로 들어가면 in, 밖으로 진행하면 OP(outside partner)라고 한다.
그런데 피겨에 따라서는 closed telemark의 3보와 같이 남녀가 정면으로 서는 것이 아니라 약간 비스듬히 서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남성의 후행 피겨의 1보는 CBMP, OP이다. 그런데 선생님에 따라서는 후행 피겨의 1보를 'IN'으로 들어가라고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리더가 폴로우를 리드할 때 교과서적인 댄스태크닉의 설명과는 달리 closed telemark의 3보를 스텝할 때 파트너를 남성의 정면으로 위치하도록 리드해야한다. 마치 왈츠를 처음 시작할 때 준비보 다음에 natural turn 1보를 'in'으로 전진할 때와 같은 홀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준비보에서 남녀는 정면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는 특수한 경우로 일부 선수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 한가지 예는 폭스트로트의 running finish - feather step을 출 때도 마찬가지다. 통상은 교과서의 댄스태크닉대로 feather step의 1보를 OP로 나가는데 이 경우도 'IN'으로 하고 싶으면 running finish(SQQ)의 마지막 스텝을 밟을 때 사이드리딩을 하지않고 파트너를 리더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리드한다. 마치 폭스트로트를 처음 시작할 때 준비보 다음에 feather step 1보를 'in'으로 들어갈 때와 같이 준비보에서 파트너를 리더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홀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와 같다. 이 경우도 특수한 경우로 일부 선수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댄스교재와 인터넷 동영상을 참고하고 그리고 선생님께 질문하여 제나름대로 정리한 것이오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