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이야기

댄스용어해설(H,I,J,K)

장호열 2014. 10. 18. 06:34

[H]
○ hair pin : U자형의 커브
○ head turn : jive의 american spin 경우는 1박자에 1회전을 함으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다. 그러나 라틴댄스의 180도 턴을 할 경우는 약간의 기술이 필요하다.
회전을 시작할 때 몸을 진행방향으로 돌리고 머리는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버티다가 몸이 돌아간 후 신속히 돌린다. body와 head를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몸과 머리를 같이 움직이면 머리가 어지럽다.
라틴댄스의 rumba, cha cha cha or salsa의 for & backward walk turning의 경우는 180도 턴을 한다. 라틴댄스의 spot turn도 walk turning이라고 생각하면 틀림이 없다.
그러면 walk turning이란 무엇인가?
‘전진한 다음 회전 한다’는 뜻이다. 회전하면서 전진하지 말라는 뜻이다.
라틴 댄스의 경우 딜레이드(체중을 이동하는 타이밍을 늦추는 것)외에는 체중이 실리기 전에 회전하는 동작은 없다고 보면 된다.
요약하면, 우선 축을 세우고 즉, 체중이동을 한 다음 turn을 한다.
회전을 힘차고 예쁘게 보이기 위해서는 몸이 회전 할 때 머리를 최대한 버티다가 진행방향으로 신속히 돌린다. 이런 회전 방법은 회전으로 인한 어지러움 예방에도 상당히 효과적이다.
○ heart [hɑːrt] n. : 심장. 가슴, 흉부.
○ height [hait] n. : 높음. 높이, 키;
○ heel : 발꿈치
○ heel pivot : 오른발을 후진하고 그 뒤꿈치로 좌회전한 다음 왼발에 체중을 옮기지 않은 채 오른발에 나란히 붙여 왼발부터 전진하는 것.
○ heel pull(pull step) : 남성이 사용하는 heel turn의 일종으로, heel turn과의 차이는 체중을 실은 한쪽발의 뒤꿈치(heel)로 회전을 할 때 다른 한쪽 발(이동하는 발)의 inside edge로 더 천천 히 끌어오고 거의 회전이 완료한 즈음에 체중을 실은 발 옆으로 약간 떨어뜨려 놓고(footwork : H - IE - WF) 거기에 서 체중을 옮겨 체중을 지지하여 회전한 발이 다음 스텝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항 상 이 회전은 뒤꿈치로 하지만 강하게 3/8이상 회전을 하는 경우는 ball로 회전 한 후에 뒤꿈치에 체중을 옮겨 계속한다. 예컨대, 남성의 경우, 왈츠 hesitation change 5보, fox trot natural turn 5보는 heel pull이다. 이 경우는 왼발(4보)을 후진하고 제5보에서 오른발을 모을 때, 오른발의 heel로 마루바닥을 누르면서 왼발의 heel로 회전하고, 오른발을 옆으로 벌려 체중을 오른발로 옮긴다. 서포팅 풋의 힐로 우회전을 하고 무빙 풋은 서포팅 풋의 옆에 약간 떨어져서 놓는다.
○ heel turn : 힐 턴은 회전이 뒤꿈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성의  휘겨에 많이 사용된다. 특징은 한쪽 발을 후진해서 그 발뒤꿈치 쪽으로 회전할 때 다른 발을 끌어 모은다. 그 발에 체중을 옮겨서 뒤꿈치로 회전을 계속한 다음 처 음 뒤쪽으로 회전한 쪽의 발이 다음 스 텝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 hesitation [hèzətéiʃən] n. : 주저, 망설임; 말을 더듬음.
○ hinge [hinʤ] n. : 돌쩌귀, 경첩; 쌍각류(雙殼類) 껍질의 이음매; 관절(ginglymus); 우표첩의 종잇조각(mount)(우표를 붙이는). 요체(要諦), 요점, 중심점. 휘겨의 명칭으로 레프트 위스크에서 발전한 스텝으로 상체는 throwaway oversway로서 같은 형이지만 여자의 발만이 바뀌어 밟게 된다.
○ hip [hip] n. : 궁둥이, 허리(골반부), 히프,
○ hitch [hitʃ] n. : 달아맴; 얽힘, 연결(부). 급격히 잡아당김
○ hockey [hɑ́ki / hɔ́ki] n. : 하키, 아이스 하키; 하키용 스틱(=∼ stick).
○ hold : 남녀가 짝을 짓는 방식
○ hook [huk] n. : 갈고리, 훅; 걸쇠; ‘ᄀ’자 꼴 의 것; (수화기를 거는) 걸이 부분 호크, 멈춤쇠; 경첩(의 고정부);
○ hop [hɑp / hɔp] n. 도약, 앙감질; 토끼뜀. (구어) 이륙; (장거리 비행의) 한 항정(航程)(stage); 비행. (구어) 댄스 (파티). 댄스에서는 가볍게 뛰는 것을 말한다.
○ hover [hʌ́vər, hɑ́v-] vi. : (곤충·새·헬리콥터 따위가) 하늘을 떠다니다, 비상하다. (┅의 곁을) 맴돌다(over; about), (공포 등이) ┅에게 붙어 다니다. 주저하다, 망설이다. n. 공중을 떠다님; 맴돎; 주저, 망설임
① hover는 새나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있는 동작을 말한다. 댄스에 있어서 hover란 상체를 충분히 일으켜 세워 거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체를 over turn하는 어느 figure의 일부를 말한다. 왈츠 또는 퀵스텝의 hover corte, fox trot의 natural twist turn(NTT)의 6~8 step(hover feather) 등이다. hover 자체로 figure를 이루는 경우는 드물다.
② 왈츠의 hover와 hover corte
․hover corte의 step
1보 - 남성 오른발 후진, 여성 왼발 전진.
2보 - 남성 왼발 옆으로 그리고 약간 앞에, 1~2 사이에 3/8회전, 몸 회전 조금 적게, 여성은 오른발 옆으로 그리고 왼발이 오른발을 향해 브러시 1~2 사이에서 1/4, 2에서 1/8회전.
3보 - 남성 오른발 후진, 여성 왼발 전진 스텝으로 된다.
․hover의 step
[남]
1보 - 오른발 전진,
2보 - 왼발전진 후 체중을 놓지 않은 체, 헬리콥터처럼 공중에 떠 있다가,
3보 - 오른발 제자리,
[여]
1보 - 왼발 후진,
2보 - 오른발 후진 후 체중을 놓지 않은 체, 새처럼 공중에 떠 있다가,
3보 - 왼발 제자리
(휘겨조합의 예)
......... - chasse from pp - hover - outside change - ............
......... - natural spin turn - hover corte - back whisk - .........
③ fox trot의 hover feather
natural twist turn(NTT)의 6~8 step은 hover feather인데, NTT라는 figure 속에 hover feather라는 figure가 포함되어 있다.
heel pull 다음에, 또는 SS로 count되는 1~2 hover telemark 다음에는 hover feather(QQS)라는 독립 휘겨가 속행하는 경우도 있다.
○ huit : (f) 여덟의 여덟째의, 여덟 8일 8자형(字形)
○ hustle [hʌ́səl] n. : 몹시 서두름, 밀치락달치락(jostling); 한바탕 소동.

[I]

impetus [ímpətəs] n. :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 추진력, 운동량, 관성(慣性). (정신적인) 기동력(機動力), 유인, 자극.

inside of turn(내측회전) : 후진하는 발에 모든 회전이 일어나며 발이 몸 보다 더 회전하며 foot swivel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발의 상태를 pointing이라고 하며 몸의 상태를 body turn less(몸 회전 조금 적게)라고 한다. 예컨대, 남성 natural turn 4 - 5.

마주잡고 회전하게 되면 한사람은 내측회전이 되고 다른 한 사람은 외측회전이 되는데 회전량은 같게 되지만 회전 거리는 서로 다르게 되어서 내측회전을 하는 사람은 한 개의 스텝으로 회전거리를 짧게 해야 하고 외측회전을 하는 사람은 회전거리가 길기 때문에 두개의 스텝으로 나누어서 한다.

예컨대 natural turn의 남성 1-2보 사이에서 1/4, 2-3사이에서 1/8턴과 같이 두 스텝을 하게 되지만 여성은 1-2보 사이에서 한 개의 스텝으로 발은 이미 3/8턴을 모두 끝마친다.

한 휘겨에서의 회전은 주로 첫 스텝이 전진 또는 후진이며 두 번째 스텝부터 회전이 시작된다. 내측회전은 두 번째 스텝에 회전이 전부 이루어지지만 외측회전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스텝에 나누어 회전이 일어난다. 내측회전은 회전이 해당되는 발에서 직접회전이 이루어지나 외측회전은 먼저 딛어진 발로 회전을 하고나서 해당되는 발을 딛게 되는데, 이 때의 회전은 해당되는 발로 회전했다고 표기를 한다.

예컨대 natural turn1-3보는 남성은 외측회전, 1보에서 먼저 회전이 일어나지만 2보에서 foot swivel이 일어난다 하고, 여성은 내측회전, 2보에서 직접 회전이 일어난다고 한다.

in place : 한발을 들었다가 그 자리에 체중을 두어 step하는 것. basic in place

 

[J]

jitterbug : [지르박 명칭의 유래]

마구 흔들어 대는 곤충을 ‘Jitterind bugs’라고 하는데, 북미 흑인들의 격렬한 도약적 swing action, 익살맞은 제스쳐, acrobatic(재주넘기)등이 곁들인 할렘가 춤이 합쳐져, 그 모습이 마치 마구 흔들어대는 곤충(jitterind bugs)이 광분한 것 같다고 묘사함으로써,

북미 흑인들의 춤이 jitterbug로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 재즈댄스의 일종인 jitterbug을 머리 좋은 우리나라 춤꾼들이 수입해 들어와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우기 쉽게 변형하여 만든 것이 우리나라의 지르박이다.

그러면 지터벅(jitterbug)이 어떻게 지르박이 되었는가?

미국 사람들은 ‘T’발음을 ‘R’로 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Water()워터라고 발음하지 않고 워러라고 발음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미국사람들이 water를 발음하는데 워터를 된 발음으로 하지 않고 부드럽게 발음하는 것이 우리 귀에는 워러라고 들린다는 표현이 정확할 것이다.

우리말에도 그런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미닫이 문을 말할 때 미닫이 문이라고 글자 한 자 한 자 발음하면 못 알아듣는다. 단어를 부쳐서 미다지 문이라고 발음하면 쉽게 알아듣는다.

미닫이 문이라고 쓰지만 발음할 때는 미다지 문으로 들린다.

그래서 지터벅이 지러벅으로 들린다. 그런데 지러벅은 무슨 버러지(벌레)’ 이름처럼 들려 혐오감을 준다.

이러한 우여곡절을 거쳐 한국 춤의 대명사인 지르박이라는 세련된 이름이 탄생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K]

kick [kik] v. : 차다, 걷어차다

knee back : 무릎을 곧게 펴 다리를 늘려 뒤로 뺀 것.

knot [nɑt / nɔt] n. : 매듭, ; (외과수술의 봉합사(縫合絲)) 결절(結節). (장식용의) 매는 끈; 나비[] 매듭, (견장 등의) 장식 매듭. 무리, 소수의 집단; 일파(of). (부부 등의) 인연, 연분, 유대(bond). , 군살, 사마귀; 의학결절(結節); (초목의) 마디, 옹이; (판자·목재의) 옹이 (구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