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 ;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 과 open promenade, ending with outside right lunge
탱고 ;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 과 open promenade, ending with outside right lunge(open promenade & lunge action으로 약칭)의 구별
Open Promenade 스텝을 보면
남자
스텝 1: LF to side in PP
스텝 2: Rf fwd and across in CBMP and PP
스텝 3: LF to side and slightly fwd
스텝 4 Rf fwd in CBMP OP
여자
스텝 1: Rf to side in PP
스텝 2: Lf fwd and across in CBMP and PP
스텝 3: Rf to side and slightly back
스텝 4 Lf back in CBMP
단체반 레슨에서 예를 들면 - progressive link -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 - promenade link - 이와 같은 루틴을 흔히 배우게 된다.
그런데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 의 조합을 가르치면서 open promenade(SQQS)의 4번째 스텝 S를 lunge action으로 가르치는 것을 많이 접하게 된다.
open promenade(SQQS)의 4번째 스텝 S(남 ; 스텝 4 Rf fwd in CBMP OP, 여 ; 스텝 4 Lf back in CBMP)와 4번째 스텝(S)을 lunge action으로 하는 경우는 스텝의 방향과 head, body의 방향이 모두 다르다.
왜냐하면 lunge란 ‘펜싱 따위의 찌르기를 할 때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한쪽 발을 힘껏 내미는 동작’을 말하기 때문에 오히려 오른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전진하는 스텝이 될 것이다.
실재로 선생님도 그렇게 가르치고 외국 교육동영상을 보아도 남자가 오른발을 CBMP로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으로 약간 비스듬히 전진하는 스텝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의문점은,
1.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을 교과서대로 가르치지 않고 open promenade라는 휘겨명칭을 사용하면서도 4번째 스텝을 왜 lunge action으로 가르치는지?
2. lunge action을 사용하려면 처음부터 휘겨명칭을 open promenade, ending with outside right lunge(open promenade & lunge action으로 약칭)로 왜 사용하지 않은지?
3.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과 open promenade & lunge action, outside swivel의 open promenade 4번째 스텝(S)과 lunge action(S)이 설사 다르다고 하더라도 후행휘겨로 똑 같이 outside swivel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굳이 lunge action을 특별히 사용하고자 하는 이유라도 있는지?
필자의 생각은
open promenade & outside swivel의 명칭을 사용하고자하면 교과서 대로 가르치는 것이 좋을 듯하고,
굳이 lunge action을 사용하고 싶으면 명칭을 open promenade, ending with outside right lunge(open promenade & lunge action으로 약칭)로 사용하는것이 좋을 듯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