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이야기

CBM Shoulder lead(or side lead)

장호열 2014. 1. 7. 12:00

우리가 댄스스포츠를 배우면서 dance technique을 꼭 알아야 하는데 이번 기회에는 그중 CBM과 Shoulder lead(or side lead) 개념을 설명하려고 한다.

댄스는 걷기(walk)가 기본이다. 춤을 추기 위해서는 그 걷기에 rise & fall, CBM, shoulder lead, sway 등 댄스기술이 필요하다.

우리 몸은 대칭으로 되어 있다. 왼발·오른발, 왼손·오른손, 왼쪽 어깨·오른쪽 어깨, 왼쪽 옆구리·오른쪽 옆구리, 왼쪽 허리, 오른쪽 허리, 왼쪽 골반·오른쪽 골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우리가 걷기를 할 때는 양발을 교대로 앞·뒤로 움직인다.

1) 이 때 어린 아기 일 때는 걷기가 익숙하지 않아 왼발(LF)을 전진할 때 왼쪽 팔(LH)을 앞으로 내밀고 오른발(RF)을 전진할 때 오른쪽 팔(RH)을 내미는 데, 이는 룸바 walk을 연습할 때처럼 움직이는 발과 같은 쪽 팔을 내미는 것처럼 걷는다. ---- 이런 현상을 댄스 테크닉 용어로 Shoulder lead(or side lead)라고 한다.

전에는 shoulder lead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ballroom dance technic에서는 side lead으로 사용한다. shoulder(어깨)니 side(신체의 옆구리)니 하는 단어의 사전(辭典)적 의미에 너무 집착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lead란 댄스용어도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lead란 사전적 의미는 ‘[사람]을 인도하다. 데리고 가다. 이끌다’등인데 댄스용어로는 ‘남자가 피겨의 순서, 타이밍, 포지션을 여자에게 전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춤은 남자가 여자에게 춤의 순서(루틴), 스텝의 시간적 길이(123, 1&23, SS, S&QQ등), PP로 열 것인가, closed로 닫을 것인가 등을 매 피겨마다 매 스텝마다 여자에게 전하고 여자는 남자의 리드를 받아서 추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남자가 그만큼 더 어려운 것이다.

2) 성인의 걷기는 움직이는 발의 반대쪽 팔을 움직이는 발의 방향과 같은 쪽으로 뻗는다. 즉 전후진시 moving foot(움직이는 발)의 반대쪽 어깨나 허리가 moving foot의 방향으로 뻗거나 흔드는데, 왼발 전진시 오른팔을 앞으로 뻗고 오른발 전진시 왼팔을 앞으로 뻗는다. 후진시에도 마찬가지다. 왼발 후진시 오른팔 뒤로, 오른발 후진시 왼팔을 뒤로 뻗는다. ---- 이것이 CBM이다. CBM을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Contra body movement를 우리말로 직역하면 ‘반대의 몸 운동’ 정도로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다. 춤은 발과 다리를 사용하여 스텝을 밟는 것이고 춤을 아름답고 dynamic하게 추기위해서는 발과 다리 외에 우리의 몸을 효과적이고 예쁘게 움직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sway가 필요하고 rise & fall을 해야 하고 특히 ‘전후진시 moving foot(움직이는 발)의 반대쪽 몸(어깨나 허리)이 moving foot의 방향으로 뻗거나 흔드는 동작’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반대쪽 몸 동작’을 댄스 전문가들은 CBM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사용하게 된 것이다. 즉 오른발 전진시 왼쪽 어깨나 허리가 오른발 전진 방향으로,왼발 전진시 오른쪽 어깨나 허리가 왼발 전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Contra body movement(CBM)라고 말하는 것이다. 후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A) ; Shoulder lead
전진할 때 유치원생처럼 움직이는 발과 같은 쪽의 팔이 앞으로 나간다. 즉 RF(Right foot) 전진시 RH(Right hand)를 앞으로 뻗는다. 일종의 shoulder lead 또는 side lead라고 한다. 룸바나 차차차와 같은 latin dance의 walk은 주로 shoulder lead이다. 대표적인 것이 차차차의 forward & backward lock step이다. (A)의 움직인 거리는 (X)m이다.

(B) ; CBM
전진할 때 움직이는 발의 반대쪽 팔이 앞으로 나간다. 즉 RF 전진 시 LH를 앞으로 뻗는다. 이것을 CBM이라고 한다. (B)의 움직인 거리는 (X+a)m이다.

(C) ; CBM과 CBMP
(B)와 같은 방법으로 전진하지만 모델의 걸음처럼 1자로 걷는다. 이것을 CBM과 CBMP라고 한다. (C)의 움직인 거리는 (X+b)m이다.

실재 거리를 측정해보면 X<X+a<X+b = (A)<(B)<(C)에서 보는 것과 같이 (C)의 거리가 가장 길다.

그럼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이것은 움직이는 발의 반대쪽의 몸이 움직이는 발쪽으로 스윙 운동이 일어나 움직이는 발을 좀 더 멀리 딛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 운동(CBM)은 회전할 때도 회전을 매끄럽고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모던댄스 5종목의 figure중 turn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figure는 거의 대부분 CBM이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CBM은 전후진시 moving foot(움직이는 발)의 반대쪽 어깨나 허리가 moving foot의 방향으로 뻗거나 흔드는 동작을 말하고 shoulder lead(또는 side lead)는 전후진시 스텝 하는 쪽의 몸(어깨나 허리)이 moving foot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뜻하므로 서로 상반된 개념이다.

 

다음기회에는 CBM과 Swing과의 관계를 이야기 하려고 한다.